d라이브러리
"1"(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과학동아 l201208
- 수 있을거야! 벌써부터 흥분되는데! 그럼 탐사를 시작하러 난 이만 가볼게! 내일 신문 1면에서 나의 활약상을 읽어보라구!▼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레디~액션! 화성 로봇의 모험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PART 2. 한국 우주로봇 화성 가는 날PART 3. ...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08
-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힉스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PART 2. 힉스, 등장에서 관측까지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과학동아 l201208
- 15%까지도 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다. 태권도 국가대표팀의 금빛 발차기를 기대해본다.2011년 7월 도마 역사상 가장 난이도가 높은 기술이 우리나라 경기 고양시에서 탄생했다. 양학선 선수가 코리아컵 국제체조 대회에서 펼친 기술, ‘양학선’이다. 이전까지 도마에서는 여홍철 선수의 ‘여2’ 기술이 ...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과학동아 l201208
- 있다. 한국표준연구원의 남승훈 책임연구원팀은 두께 1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이하인 탄소나노튜브 실을 개발했는데, 강도가 강철의 100배 정도 높다. 케블라로 만든 방탄복보다 20배 더 튼튼하거나, 혹은 20배 더 가벼운 방탄복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더구나 이 소재는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과학동아 l201208
- 역사의 눈을 하늘에 두자현대 학문은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체계를 세운 것이다. 21세기에는 우주과학이 크게 발달하고 지구가 속한 태양계의 실체가 새로 규명됐다. 인간의 삶을 다루는 인문학, 특히 인간의 삶의 자취를 다루는 역사학은 변신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곧 역사적인 조건이기 ...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과학동아 l201208
- 본격적으로 더운 계절이 왔습니다. 더위를 달랠 시원한 아이스크림이 간절해지는 계절이기도 하죠. 그런데 아이스크림을 먹거나 우유를 마시면 괴로 ... 인류학 연구를 통해 새롭게 드러난 인류의 모습은, 지난 500만 년 동안과 마찬가지로 최근 1만 년 사이에도 왕성하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 ...
- 제 11회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과학동아 l201208
- , 박상우(서울사대부중), 최서현(서울정수초) 학생이 대상을 받았다. 올해로 개최 11회째를 맞는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는 전국 최대 규모의 과학 글쓰기 대회다. 청소년들이 보다 창의적인 시각으로 과학적 현상과 사회이슈에 대해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체 수상자와 ... ...
- 조력발전,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과학동아 l201208
- 둔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사실 확인 및 검증을 해야 한다. 많은 갈등과 우려 속에 2011년 8월 드디어 발전을 시작한 시화호 조력 발전소의 시화지속협의회의 경우처럼 사회적 합의기구에서 제도적 합의기구로까지 법정기구화 된 협의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양한 이해 당사자 및 정부, 민간이 함께 ... ...
- 사방으로 직선을 뻗어라과학동아 l201208
- 보기와 같이 숫자가 적힌 표가 있습니다. 다음 규칙을 따라서 아래 표 속에 선을 채워 보세요. 1) 숫자가 적힌 각 칸의 네 방향으로 선을 그을 수 있다. 2) 선들이 지나가는 칸의 개수를 모두 더한 값은 선이 시작되는 칸에 적힌 수와 같아야한다. 3) 빈 칸이 없어야하며 선은 서로 겹치거나 가로지를 수 ... ...
- 천문대장이 선물하는 최고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1208
- 월 21일은 과학의 날이에요. 과학의 날을 맞아 한국 최고의 천문대 대장님들이 미래의 과학자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특별한 선물을 보내셨어요. 과연 어떤 선물일까요?두 개의 별이 뜨는 행성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천문대인 소백산천문대장, 이동주 박사예요. 저는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