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생각하는 점수를 매기면 로스웰의 행복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➊번 8점, ➋번 7점, ➌번 6점, ➍번 5점일 경우, 행복지수 공식에 대입하면 나의 행복지수는 (8+7)+5×6+3×5=60(점)이다. 친구들과 행복지수를 구해 서로 비교해 보자. 한국인 맞춤 행복지수도 있다?로스웰이 만든 행복지수 공식은 ...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아무래도 12개월 단위로 끊어지는 1년이 익숙하기 때문이다. 20개월은 각 28일, 4개월은 각 27일로 돼 있다. 합치면 668일이다. 약 0.59일이 모자라므로 2년에 한 번 정도씩 윤년을 넣어 맞추고 있다.잘 알려졌듯이 화성의 자전축도 25.19° 기울어져 있어 계절이 있다. 하지만, 화성의 공전 궤도는 많이 ... ...
- 신과 인간이 함께 사는 땅 티베트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중 사진가로서 에베레스트 산의 웅장한 풍경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욕심이 들었다.꼬박 7일 동안 해발 4000~5000m를 넘나드는 고산지대와 싸우며 티베트와 에베레스트의 아름다운 풍광을 사진에 담았다. 산악인이 아닌 사진가의 눈으로 바라본 에베레스트의 모습은 인간의 영역이 아닌 것처럼 ...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열쇠협회기술학원 원장은 “자물쇠에 맞는 열쇠로 문을 여는 게 아니기 때문에 열쇠가 7개도 필요 없다”며 “열쇠 구멍의 모양만 같다면 열쇠 한 개로도 충분하다”고 말했다.모든 문을 여는 마스터 열쇠열쇠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모든 문을 열 수 있는 열쇠도 있다. 바로 마스터 열쇠다. 호텔이나 ...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기억에 남았다는 강 교수는 그 자신도 일요일도 없이 지난 세월을 보냈다. 그리고 2001년, 17년 만에 호헨하임대를 찾았을 때 그는 학교 주변이 각종 식물들로 가득 차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제초제를 연구하던 박사과정 시절 때는 전혀 보이지 않던 풍경이었다. 신선한 충격이었다.“이름 없는 ...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년 11월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소장 허민)는 백악기 후기 한반도에살았던 토종 공룡을 7년간의 발굴과 연구, 복원작업 끝에 공개했다. 조각류 공룡인 힙실로포돈류의 일종으로 보이는 작은 초식공룡으로 허민 교수팀은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라는 학명으로 국제 고생물학회에 보고했다. ...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있다.인류가 사용하는 자원, 에너지 양을 토지면적으로 환산한 ‘생태발자국’은 2010년 2.7gha(글로벌헥타르, 한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소모하는 지구 자원의 양을 토지 면적으로 환산한 단위)로, 지구의 생태계가 지닌 부담 능력(1.8gha)을 1.5배 넘고 있다. 지금 인류의 삶을 지탱하려면 지구가 반 개 더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2.0으로 가정하고 추정한 결과로는 100억대 초반 이후 안정된다.4 대형 전염병위협 요인70억 지구는 과거보다 훨씬 더 밀집해 살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인류는 20억 명에 불과했다.지금은 세 배가 넘는다. 단순히 인구가 많다고 위험한 것이 아니다. 20세기 중반 이후 일부 지역에 인구가 ...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따로 있어. 바로 올림푸스 몬즈라는 산이야. 태양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높이가 무려 27km나 된단다. 지름이 500km 정도로 넓어서 지구에 가져다 놓으면 우리 부모님 고향이었던 한국을 통째로 덮을 수 있다고 하더라고. 올림푸스 몬즈는 순상화산이야. 학교에서 배웠지? 마그마가 천천히 흘러나와 ...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인체 보형물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캐나다 맥길대 제이크 바라렛 교수팀은 2007년 시멘트 가루에 산을 뿌려 ‘인공 뼈’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작은 숨구멍이 숭숭 뚫려 있어 실제 뼈와 흡사하다. 그들은 인공뼈에 혈액을 공급하는 기술을 완성해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할 예정이다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