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유일한 여학생이란 부담이 없지는 않지만 모두가 협조적이어서 잘 되어 나갑니다" 금속학과 1년 홍재홍군은 또 다른 각도에서 면학의욕을 불태우고 있다. "6·29선언이후 민주노조결성을 소리 높이 외쳤던 것은 인간답게 살기를 원하는 처절한 외침이고 민주의 꽃을 피우기 위한 시련이 ... ...
- 보다 장래성 있는 분야는?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인구와 산업활동의 증가에 따라 환경에 따른 관심은 더욱 늘어나기 마련. 따라서 도시공학과 폐기물 처리 자연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은 새로이 강조될 것이다. 한편 자원고갈의 위협에 맞서 태양에너지 풍력 생체에너지 조력 지열 등 재생가능한 에너지원과 핵융합, 해양자원탐사 등이 앞으로 ...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없다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최종적으로는 11개 학과의 학부과정에 1천2백명, 역시 11개 학과의 대학원석사과정에 5백명, 박사과정에 4백80명이 각각 재학하게 되고 교수는 3백명으로 불어나게 된다. 이외에도 대학부설 산업과학기술연구소에 박사급 연구원 2백명을 포함한 4백명의 연구원이 유치될 ...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정화장치를 부착, 무연휘발유를 쓰게 했다. 신소재 ■ 초전도체연구 활발서울대 물리학과 김정구(金廷九) 교수팀이 3월15일 절대온도 55도에서 초전도현상을 나타내는 초전도물질을 개발했다고 발표. 또 부산대 장민수(張敏守) 교수팀은 절대온도 백도에서 그리고 한국표준연구소 박종철(朴鍾喆) ...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선두를 지킬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처음 미생물학과를 설립하는데 진력한 필자로서는 무척 큰 자부심과 긍지를 느낀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후배양성에 여생을 바치고자 한다 ... ...
- 정지위성발사에 성공한 중공의 우주과학과학동아 l1987년 12호
- 1909년에 세워진 전통있는 북경사범대학 천문학과, 북경대학에 지구물리학과와 천체물리학과를, 그리고 중국과학기술대학에는 천체물리 연구실등이 신설되었으며, 남경엔 1958년 천문관측기기제작소까지 만드는 의욕을 보여주었다.1957년에는 중국자연과학사 연구실을 설립하여 그속에 ... ...
- 적성과 진로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자연을 관찰하는 능력이 밑받침된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다. 공학에서는 대부분의 학과가 이론 중심 파트가 있는 반면에 이미 밝혀진 이론을 현실에 적응시켜나가는 현장 중심 파트가 있으므로 선택엔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문 특별한 적성이 없다고 생각되는데 이공계에서 그다지 적성이 ... ...
- 여학생으로 보다 적합한 선택은?과학동아 l1987년 12호
- 물리학과 (13.4%)는 비율이 낮다. 공학계에서는 2.7%에 불과하다. 두드러진 현상은 전자계산학과로 몰리고 있는 것인데 10명중 2명꼴이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 더욱 늘어나면서 활발해질 것으로 본다. 문 여성에게 보다 적합한 분야가 따로 있는가. 답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지 말아야 한다. ...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과학동아 l1987년 12호
- TV 비디오 뉴미디어 등 영상매체에서의 디자인을 교육내용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생활미술학과는 섬유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디자이너의 육성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디자인은 우리나라 산업계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중화학 공업단지에 본격적인 디자이너의 배출을 위한 ...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87년 12호
- 천문학과 M교수는 지난해 미국에서 관측활동을 마치고 귀국하던중 김포공항세관원들에게 창피를 당하고 말았다. 정부의 연구보조금 지원이 시원치않은 판에 호주머리를 털어 천체전자관측장비를 들여 온 것이 화근이 된 것. 세관원들은 M교수가 사들고 온 천체관측장비의 기묘한 모습을 보고는 ... ...
이전4234244254264274284294304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