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9,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난 먹어봤자 살아나와"…콩알물땡땡이 슈퍼 생존법
연합뉴스
l
2020.08.04
항문을 벌리도록 괄약근까지 자극했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콩알물땡땡이는
실험
실에서 다리에 왁스를 칠해 제 기능을 못하게 했을 때는 개구리 소화기관에서 살아나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탠퍼드대학에서 개구리 소화기관을 연구해온 박사과정 대학원생 노라 모스코비츠는 ... ...
인간도 박쥐 무리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말했다. USGS와 USFWS는 인간이 실제 박쥐를 감염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올해 11월까지
실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쥐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박쥐 사이에 퍼진 바이러스가 다시 인간에게 돌아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욕타임즈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북미 ... ...
고체로켓 사용제한 풀렸다지만 로켓 쏠 하늘이 없네
2020.08.03
NASA)의 고체 로켓 부스터
실험
. 위키피디아 제공 한국과 미국이 이달 28일 우주발사체(로켓)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 제한을 해제하는 내용을 담은 새 ‘미사일 지침’에 합의했다. 한국이 지대지 탄도미사일인 ‘백곰’ 개발에 성공한 뒤 이듬해인 1979년 지침이 처음 만들어진 이후 40년만에 고체연료 ... ...
미 첫 유인우주선 '크루드래건' 3일 오전 우주에서 바다로 '첨벙'...귀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미세중력 환경에서 작은 관 구조의 특성을 연구하거나 액체 방울의 형성과 움직임을
실험
하고 전기분해로 형성되는 기체방울을 관찰했다. 바다에 착수한 크루드래건을 스페이스X의 배가 회수하는 모습이다. NASA 제공 임무를 마친 두 우주인은 크루드래건에 다시 탑승한 뒤 1일 오후 7시 34분 ... ...
[과학게시판]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 출범·제7회 KAIST 국제핵비확산학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국가핵안보국 차관보가 축사자 및 연사로 참여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유엔 포괄적핵
실험
금지조약기구(CTBTO) 등 20여 개 국내외 원자력 및 핵비확산 기관이 참여한다. 자세한 내용 확인은 KAIST 핵비확산교육연구센터 홈페이지(nere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ISS 우주인 탑승 '크루드래건' 3일 새벽 귀환...플로리다 인근 바다 착수 예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02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전체 과정은 이미 지난해 3월 크루드래건의 시험선 데모-1을 이용한
실험
으로 안전성이 검증돼 있다(아래 사진). 지난해 3월 8일 민간우주유인선 '크루드래건'의 시험선 데모-1이 대서양 바다에 무사히 지구에 돌아왔다. 사진은 착륙 직전 낙하산을 펼치고 내려오다 착륙하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혼자라고 느낄 때
2020.08.01
대한 연구들이 있었다. 그 중 하나로 미컬린서(Mikulincer) 등의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실험
을 했다. 사람들에게 일련의 사진을 보여준다. 첫째로 ① 몸이 아프거나 일이 잘 해결되지 않아 힘들어하는 사람의 사진을 보여주고, 그 다음 ② 힘들어하는 사람 옆에 누군가 다가온 사진을 보여주었다. ... ...
코로나19 백신 이제 가시권인데…확보·분배 전략 안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개발 관련
실험
하는 연구원들. 국제백신연구소(IVI)에서 연구원들이 백신 개발 관련
실험
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를 막을 백신 후보물질 중 6종이 임상시험 최종단계인 3상에 들어가는 등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가시권에 들면서 이제는 한국도 백신의 ... ...
"임신부 코로나19 감염시 태아 뇌세포 손상될 수도"
연합뉴스
l
2020.07.31
태아의 뇌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연구진은 쥐
실험
을 통해 임산부가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때 분비하는 인터페론 베타가 태아의 뇌에 있는 면역세포인 소교세포(microglia)를 비정상적으로 행동하게 만들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보고했다. 단백질의 일종인 ... ...
영장류
실험
서 코로나19 항체 형성·감염 방어 효과 잇따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때 최대 4배까지 증가했다(아래 그래프).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의 영장류
실험
결과 중 일부다. 왼쪽은 주요 항체로 꼽히는 이뮤노글로불린G(IgG)의 양(b)과 중화항체의양(c)을 비교한 것이다. 초록 삼각형은 대조군이고 빨간 원은 1차 접종만 한 경우, 파란 사각형은 2차까지 접종한 경우다.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