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가능할 것이다. 그래픽카드(GPU)가 원래는 컴퓨터 게임이나 3D 그래픽에 한정적으로
사용
됐는데, 최근에 나오는 ‘일반적인 그래픽카드(General GPU)’는 딥러닝에 주로 활용된다. 그것 때문에 대학에서도 연구 목적으로 그래픽 카드를 많이 구입하고 있다. 연구실에 장비를 납품하는 분이 ‘교수들이 왜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곱을 이용한다. 지금으로서는 가장 안전한 방식이라 여겨지기 때문이다.현재 가장 많이
사용
하는 암호 방식은 RSA라는 공개키 암호다. 암호를 교환할 때 큰 소수 두 개를 곱해 만든 수를 공개하는 데 해킹이 거의 불가능하다. 규칙을 알기 힘든 큰 수가 어떤 수로 소인수분해되는지 알기가 어렵기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하지만 터치스크린은 어디를 눌러야 할지 일일이 쳐다봐야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사용
자가 정확히 터치했다고 확실히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에서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서 스크린을 누를 때 소리가 들리거나 미세한 진동이 느껴지게 만들었습니다.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과 촉각까지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OECD)에서는 이러한 여러 방법을 개발해 전세계 과학자들에게 동물실험 대신
사용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답니다.*표피 : 동물이나 식물의 표면을 덮는 세포층.*각막 : 눈 앞쪽에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한국중력파연구단 역시 수많은 학회에서 보안유지에 신중을 기했다. 특히 공용프린터
사용
을 자제하고, 협력단 회원이 아닌 연구자와의 대화에서 암구호를 정해 말을 하는 등 보안에 힘쓰기도 했다.우여곡절 끝에 2016년 2월 11일(미국 현지시간) 중력파 검출 성공 소식이 발표됐다. 중력파 검출을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서서 일하고 있는 회사 동료에게 물어보니 바닥이 푹신한 실내화와 무릎 보호용 매트를
사용
하면 한결 낫다고 했다.이후 신발을 갈아 신고 매트도 깔았지만 다리, 특히 무릎 부위가 계속 아팠다. 처음에는 50분을 일하고 10분을 앉아서 쉬는 등 규칙적으로 쉬어주려 했지만 바쁜 일에 쫓기다 보면 ... ...
[Tech & Fun] 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➌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있다면 개인이 자신의 점심시간을 마음대로 정해 식사를 한다는 것. 시간을 자율적으로
사용
해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그밖에도 아이가 아프거나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 병가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복지 제도가 탄탄하게 마련돼 있다. 이 역시 연구 효율을 높이는 데 크게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려 합니다. 회전이 가능한, 작은 로봇이 필요한 곳 어디에든
사용
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작은 로봇들은 주로 의료용으로 많이 이용합니다. 몸 안으로 들어가는 로봇은 안전성 문제로 바로 이용하기가 어렵지만, 몸 바깥에서 도움을 주는 로봇들은 상대적으로 상용화가 빠른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것이 단점이다. 그럼에도 이 알고리즘을 많이 쓰는 데는 이유가 있다. 씨앗으로
사용
하는 숫자가 어느 정도 크면 사람은 물론 컴퓨터도 규칙을 찾는 게 불가능해진다. 즉 난수로 봐도 무방한 것이다. 난수 생성 주기가 약 230이면 230개의 숫자는 무작위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230개, 적어도 10억 개의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짤로그’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않아도 되고 마치 페이스북을 하듯 자연스럽게 들어와서 짤을 즐기면 된단다. 이렇게
사용
자 참여가 늘고 이미지가 널리 확산되면, 짤 시장이 점점 커지고 콘텐츠 생태계가 풍부해진다. 더불어 콘텐츠를 만든 창작자에게도 힘이 된다.콘텐츠를 생산하고 사업을 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짤로그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