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달린 눈인 ‘끝눈’이 잘 발달하는 종을 골라 *교배 시키는 과정을 반복했어요. 그 결과 지금의 양배추가 탄생했지요. 이와 같은 원리로 케일은 잎, 브로콜리는 꽃과 줄기, 콜리플라워는 꽃무리, 콜라비는 줄기, 방울양배추는 줄기와 잎 사이에 나는 곁눈을 발달시켜 만들었답니다.*교배 : 두 개체의 ... ...
- 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콘텐츠가 약 300여 개 올라와 있다. 기자가 만났던 취재원들은 대 부분 10년 안에 HMD가 지금의 스마트폰 자리를 차 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하철에서 너나할 것 없이 HMD를 보고 있을 거란 말이다. 어떤 혁명적인 변화 가 생길까. 상상하는 사람이 새로운 세상의 주인이 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유전체를 수정할 능력이 없다. 생 명체를 자동차와 같은 복잡한 기계에 비유하면 지금 은 자동차를 구성하는 복잡한 부품 일부의 기능을 알고, 고장이 났을 때 교체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 도 망설이는 수준이다. 헐크 같은 괴물을 만드는 것은 자동차를 개조해 트랜스포머를 만드는 수준에 비유 할 ... ...
- [Life & Tech]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와 같이 앞장서 여성을 비하하며 자신과 같은 여성이 많아지길 기대한다.나는 남자니까 지금 이대로 사는 것에 만족하며 가만히 있는 것은 어떨까. 불평등한 세상은 여자도 불행하지만 남자도 불행하다. 성차별의 핵심 기제는 성별로 사람의 특징을 나누고 삶을 옭아매는 것이다. '여자는 ~해야 한다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느껴지는 학문입니다. 갈수록 자원이 부족해지고 있기 때문에, 미래에는 에너지 재료가 지금보다 더 핵심 연구 분야가 될 겁니다.Q 연구 중인 이차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일차전지가 한 번 쓰고 버리는 전지라면, 이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해요.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기자교육 드디어 밝혀진 섭섭박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게다가 친구들의 비밀 고민까지 모두모두 밝혀졌다고 하는데…. 어떤 비밀이었는지 지금 바로 알려 줄게!드디어 밝혀진 섭섭박사님의 비밀! 첫 번째, 섭섭박사님은 19년 동안 과학기자로 활동해 오신 김원섭 기자단장님이라는 사실! 이날 기자교육에서 섭섭박사님은 그야말로 기자에 대한 모든 것을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특정 컴퓨터를 좀비PC로 만들어 시스템 전체를 마비시키는 디도스 공격에 더욱 취약해요. 지금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같은 특정 사물들만 인터넷에 연결돼 있어서 해킹할 수 있는 목표 사물이 적어요. 하지만 사물인터넷 세상에서는 숟가락이나 의자도 좀비 PC로 쓰일 수 있어요.따라서 전문가들은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물론, 화면 끊김 현상이 없이 상대방과 눈을 맞춰가며 영상회의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지금까지는 대부분 화면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카메라 위치 때문에 늘 시선을 아래로 내리거나 눈을 위로 치켜뜬 것처럼 보여 눈맞춤이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ETRI 연구팀은 모니터 좌우에 카메라를 달고, 수학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크게 좌절했다고 한다. 내시는 미국 프린스턴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연구했고, 지금은 프린스턴대 명예교수로 있다.공동연구로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 루이스 니렌버그 캐나다 출신인 루이스 니렌버그는 평생에 걸쳐 수학을 연구해온 ‘장수 수학자’ 중 한 명이다. 거의 반 세기가 넘는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자격증이 있는 사람이 손질한 복어만 먹어야 합니다.지금은 상상할 수 없지만, 조선시대 한강은 복어로 유명했습니다. 한양의 미식가들은 요즘 같은 늦봄만을 기다렸습니다. 복숭아꽃이 활짝 핀 한강 하구는 복어와 복어를 찾아 모여든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 ...
이전4254264274284294304314324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