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91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블랙홀의 존재를 가늠할 수 있다. HDE 226868은 청색초거성으로 백조자리 X-1과 거리는
지구
와 태양 거리의 5분의 1이다. HDE가 항성풍으로 내뿜는 물질은 눈에 보이지 않는 동반성인 백조자리 X-1으로 흡수되는데 이로 인해 블랙홀 주변에는 물질의 흔적인 강착원반이 생겨난다. 강착원반은 블랙홀에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셈이다. 이 때 블랙홀 주변에서 사건지평선 가까이에 다가간 물질이 방출하는 에너지를
지구
크기만한 거대 망원경 개념으로 구축된 8개의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이다. 블랙홀 주변에 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이 많으면 각각의 에너지를 관측해 연결하면 전체적인 사건지평선의 모습을 볼 수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방출한다. 먼지 원반의 수직 방향으로 내뿜는 고에너지 입자는 ‘제트’로 불리며 먼
지구
에서도 관측될 정도로 강렬하다. 지상에서는 이런 제트를 관측해 블랙홀의 존재와 성질을 간접적으로 연구해 왔다. 충돌하는 두 블랙홀이 주변에 중력파를 발생시키는 모습을 그렸다. 중력파는 그 동안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이번 EHT의 관측에 활용된 주요 전파망원경의 위치(위).
지구
전역의 망원경이 모여
지구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쓴 효과를 냈다. 아래는 전파망원경이 집합체를 이룰 때의 효과를 묘사한 그림이다. 단일 망원경(맨왼쪽)보다는 집합체가, EHT가 해상도가 높다. 마지막으로 또다른 전파망원경 집합체인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억5000만 년 전부터
지구
의 주인공으로 살아온 곤충은 사는 곳을 까다롭게 따지지 않는 편이다. 다른 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하고 특별한 기관인 날개 덕분에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천적이 많아지거나 먹이가 부족한 불리한 환경이 되면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과 밀림이 우거진 아마존 ... ...
'돌베개 베며 독립투쟁' 아리랑3호·3A호가 하늘에서 본 임정100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달려있다. 2015년 3월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3A호는
지구
상공 537㎞ 궤도에서
지구
를 하루에 15바퀴씩 돌며 지상을 관측하고 있다. 위성에는 가로세로 각각 55㎝ 크기 물체를 한 점으로 인식하는 고해상도 광학카메라가 달려있다. 땅 위에 서 있는 사람을 인식하거나 중소형차를 구별하는 ... ...
'인터스텔라 속 블랙홀은 얼마나 사실적일까' 관측결과 오늘밤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못한 것은 망원경의 해상도 때문이다. 아무리 거대질량블랙홀이라고 해도
지구
에서는 주변과 함께 하나의 점에 불과할 정도로 작은 크기다. 매우 밀집된 천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로 거대질량블랙홀이 회전하면서 주변으로 방출하는 X선과 감마선 등 강한 전자기파나 물질을 관측해 간접적으로 ... ...
'2200개 천둥번개가 한꺼번에' 과학의 눈에 포착된 경이로운 현상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달 5일 얇고 붉은 천 위를 장난감 비행기로 끌고 지나가며 주름을 만든 듯한 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 내려앉는 ‘소프트 랜딩’을 시도한다. 이 사진은 달을 향해가던 도중인 지난달 5일
지구
에서 3만 7600㎞ 떨어진 지점에서 찍은 사진이다 ... ...
UNEP 전 수석과학자 "위성 데이터로 미세먼지 배출원 매일 공개하자"
2019.04.09
‘살만한 미래
지구
’에 대해 강조했다. ‘살만한’의 의미가 무엇인가 “살만한 미래
지구
란 다양성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과학은 한 길로만 갈수 없다. 혁신을 위해서 다양성을 가져야 하며 지속성을 위해 다양성을 가져야 한다. 다양성은 또 다른 다양성을 가져온다. 식량을 생각해보자. 우리가 ... ...
UNEP 전 수석과학자, '지속가능한
지구
, 과학의 역할'을 말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세계 103개국 138개 기관이 가입된 세계 최대 과학기술 국제기구인 국제한림원연합회(IAP) 대표단 150여 명이 참석하는 ‘2019년 IAP 콘퍼런스 및 총회’가 11일까지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에서 개최된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행사로,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