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d라이브러리
"
응용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마법의 양탄자, 차세대 도시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203
1cm 정도 나아가는, 제자리에서 공중에 떠 고도를 유지하는 수준이다. 이 연구 결과는 ‘
응용
물리학회저널(APL)’ 2011년 9월 13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은 배터리 대신 태양전지를 이용하면 더 빨리 움직이는 양탄자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호버크래프트를 해양경찰이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03
책을 읽거나 뭐든 해봐야 알 수 있어.”되도록 많은 책을 읽으면 관심 분야의 다양한
응용
분야를 알 수 있다. 구체적인 꿈을 찾을 수 있는 지름길이다. 과학 문제집을 풀거나 교과서에서 얻은 과학지식도 그 의미와 실제 쓰이는 곳을 알 수 있어 지식이 더 공고해진다.대체로 상위권 학생들은 학교 ... ...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
과학동아
l
201202
지난해 12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1초에 무려 1조 프레임을 찍을 수 있다는 초고속 카메라, 펨 ... 곳에서 온 광자를 골라 볼 수 있기 때문에 구불구불한 혈관이나 내장 안을 보는 내시경에
응용
하는 데 초점을 맞춰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 ...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2
가 1m 거리에서도 무선충전이 가능한 기술을 발표했다. 자기 공명 원리를 유도기 전력에
응용
했다. 자기장이 발생시키는 주파수(공명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인식하는 코일을 2차 코일로 이용하면 된다. 하나의 소리굽쇠에 소리를 울린 후 또다른 소리굽쇠를 주위에 놓으면 소리가 발생시키는 ... ...
PART1. 내가 아직도 게임기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202
개발 키트를 공개해 자유롭게 키넥트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게 했다. 다양한
응용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모전을 열기도 했다.예술가의 도구가 된 게임기게임기에 관심을 보인 분야가 또 있다. 바로 인터랙티브 아트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기존 예술과 달리 참여자(인터랙티브 ... ...
마야인도 담배 피웠다
과학동아
l
201202
고대 마야인도 담배를 피웠다는 증거가 나왔다.미국 알바니대 고고학과의 제니퍼 로우밀러-뉴먼 박사팀은 7~9세기의 마야 토기에서 니코틴을 검출 ... “이 연구는 마야의 문자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화학 분석법을 고고학에
응용
한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밝혔다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02
상대성이론과 함께 현대물리학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양자역학. 최근 일본 연구진이 양자역학의 근본원리에 의문을 표시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는 외신 ... 내용은 아니다”고 말했다. [입자의 스핀을 더 정교하게 해석한 수식은 양자암호 등
응용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01
수 있는 연구 몰입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의 일환이다.한단계 더나아가 기초과학을
응용
과학으로 발전시키고 이를 비즈니스화하는 산학협력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모델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포스텍은 국내 경쟁 대학인 서울대 공대나 카이스트 등에 비해 규모가 작다. 때문에 유연하고 빠른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01
위협 요인10년 전인 2001년 8월, ‘네이처’에는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오스트리아 국제
응용
시스템분석연구소의 볼프강 루츠 교수팀이 발표한 인구 예측 결과였다.루츠 교수는 세계를 13개 지역으로 나눈 뒤 유엔과 미국인구통계국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미래 인구를 추정했다. 그 결과 2100년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01
병원체 검출이 한 번에 이뤄지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 기술을 초고집적 의료센서에
응용
하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지만, 성공한다면 많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➊ 김봉수 교수 연구팀이 한자리에 모였다. ➋ 김 교수팀이 개발한 금나노선의 모습. 병원체를 진단하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