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구"(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그 팀에서 성능 관리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런데 막상 시작하니 우리나라에는 아무런 도구가 없는 거예요. 맨땅에 헤딩하듯 여러 문제를 해결하면서 차츰 경험이 쌓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스스로 만들기 시작했어요. SW 문제 해결 실마리를 수학에서 찾다 응답시간 분포도에 대한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골대에 넣는 것이 오늘의 미션이랍니다.” 기자단 친구들에겐 오직 골판지와 공작 도구만 주어졌어요. 잠시 고민하던 친구들은 리모컨카의 길이를 재고 저마다 새로 도안을 그려 리모컨카 위에 골판지를 이어붙였지요. 삼십분 쯤 흐른 뒤 세 친구의 리모컨카는 공을 운반하는 로봇으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힘’이라고 부르지요. 모터는 로렌츠 힘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도구랍니다. 모터를 분해해서 안을 살펴보면 자석과 함께 전선으로 만든 코일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지요.이때 모터에서 회전축의 무게중심이 맞지 않으면 모터가 부드럽게 돌지 못하고 덜덜 떨며 진동이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왼쪽 팔뚝에는 혈압 측정기도 달렸다. 이 경위는 “거짓말 탐지의 가장 기본적인 측정 도구들”이라며 “손에 붙인 센서는 땀 발생량과 혈류량을, 흉부와 복부에 두른 감지기는 호흡을 측정하고, 혈압 측정기는 심혈관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감지한다”고 말했다. 이 경위는 소파 옆 컴퓨터 책상에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7등분하고 3칸을 칠한 숫자’로 표현합니다. 실제 의미의 ‘유리수’가 아닌 자연수를 도구로 실험해서 만들어낸 수가 되는 거지요. 반면 중학교 수학은 본격적으로 수를 양이 아닌 수 자체로 배우기 시작합니다. 중학교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배우는 ‘음수’는 초등학교 수학과 중학교 수학을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인간은 팔과 손을 이용해서 다양한 도구를 만들어 내고 또 그 도구를 사용해서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우리는 자동차로 치타보다 빨리 달릴 수 있고, 잠수함으로 바닷속을 탐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화성에 로봇을 보내서 화성의 상황을 스크린으로 확인하는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날카로운 도구로 자신을 찌른다. 긁고 때리고 기어이 피를 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소위 ‘자해러’의 사진이 끊임없이 올라온다. 유튜브에는 ‘OOO 박고 자살하자’는 노래가 유행가처럼 올라온다. 전문가들은 자해로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가 말로 하기 어렵거나 소용없다고 느끼기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않다고 생각했다.아직 게임이 출시되기 전이어서 체험전에 가지고 나갈 게임판과 도구들은 직접 그리고 잘라 제작했다. 또 게임을 반복하면서 걸리는 시간과 고칠 점을 확인하고, 게임하는 방법을 소개할 때 쓰는 설명서도 만들었다. 이렇게 만반의 준비를 했지만 다양한 사람들이 게임을 하면서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했다. 줄링구아는 동물의 소리와 표정, 신체 움직임을 번역하는 도구들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곳으로, 슬로보드치코프 교수는 AI를 이용해 개의 언어를 번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2018년 1월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동물은 언어의 모든 요소를 갖춘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기술이 중요하죠. ‘화산 모형’은 이러한 화산 폭발을 예측하는 연구에 쓰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현재는 화산 밖으로 나타난 변화를 관측한 결과를 데이터로 사용하고 있어서 대략적인 예측만 가능합니다. 2018년 12월과 2019년 1월에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결과가 연달아 발표됐습니다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