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굵은 소금을 뿌려 절입니다. 굵은 소금을 뿌려두면 삼투압 현상으로 배추 표면의 물이 바깥으로 빠져나와 조직이 단단해지고, 염분은 배추 조직으로 들어가 짭짤한 맛을 살림과 동시에 저장성을 높입니다. 옛날 해안가 지역에서는 바닷물로 배추를 절였다고 합니다. 바닷물의 염도(3.5% 전후, 염류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훨씬 높습니다. 다시 말해 해빙은 대기를 통과해 지구 표면까지 도달하는 햇빛을 지구 바깥으로 반사시킵니다. 그래서 북극해 해빙은 북극의 기후를 차갑게 유지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다년빙은 두껍고 표면도 얼음으로 덮여 있어 햇빛을 잘 반사시킵니다. 그러나 최근 북극 온난화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모양의 터빈이 발전기에 연결돼 있고, 위의 발전기 기본 원리의 그림과는 반대로 바깥쪽에 코일(고정자)이 고정 돼있으며, 내부에는 축을 따라 회전하는 자석(회전자)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터빈을 회전시키면 회전자에 해당하는 자석이 고정자 안에서 회전을 한다. 이때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금성이 반달 모양인 이유를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수 있답니다. 그래서 완전히 둥근 수성이나 금성은 볼 수 없는 거예요. 반면, 지구보다 바깥쪽 공전궤도를 돌고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외행성’이라고 불러요. 이 행성들은 햇빛을 받는 면 모두를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지요. 덕분에 완전히 둥근 목성이나 토성 등을 볼 수 있는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축주는 그림 같은 절경이었다. 섬 가장자리를 거대한 고리 모양 산호초가 둘러싸고, 그 바깥으로는 에메랄드 빛 태평양 바다가 잔잔하게 펼쳐졌다. 한참을 넋을 잃고 바라보다 ‘쿵’ 비행기가 거칠게 착륙하고 나서야 정신이 들었다. ‘드디어 왔구나’. 괌을 경유해 16시간이 걸린 긴 여정이었다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장소에서 신호를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장의 경우도 예외가 아닙니다. 소장의 바깥쪽에 위치한 세포들이 특정 단백질(Wnt5a)을 분비하고, 소장 안쪽에 위치한 세포는 이를 감지해 손을 어디로 뻗어야 할지 알게 되는 겁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Wnt5a를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는 배아의 경우, 소장의 ... ...
- [Culture] 아미노기와 카르보닐기의 만남 커피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어느 순간 표면에 금(크랙·crack)이 가면서 터집니다. 이 틈으로 내부에 있던 기체가 바깥으로 빠져나옵니다. 그래서 원두 색깔을 보면 어느 정도 로스팅됐는지, 커피를 추출했을 때 어떤 풍미가 날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깊고 풍부한 맛의 핵심은 ‘마이야르 반응’ 로스팅기에 원두를 넣기 ... ...
- [Culture] 고양이가 자꾸 밖에 나가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좋아하는 환경을 만들어 놓는 것이다. 고양이는 캣티오 안에서 캣티오 밖으로 일종의 바깥 외출을 즐길 수 있다. 사냥놀이로 ‘사냥 본능’ 해소시켜야길고양이는 하루에 쥐를 약 12마리 잡아먹는다. 즉, 하루 평균 12번의 사냥에 성공해야 한다는 뜻이다. 물론 쥐를 발견할 때마다 사냥에 ... ...
- [가상인터뷰] 단단하고 부드러운 달걀 껍데기의 비밀은 나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원자 현미경으로 낳은 지 15일이 지난 달걀 껍데기의 변화를 관찰했어. 그 결과, 껍데기 바깥 부분의 나노 구조는 그대로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안쪽 부분의 나노 구조는 작아졌어. 이유는 껍데기 안쪽의 탄산칼슘이 병아리의 뼈를 만드는 데 쓰였기 때문이야. 그 결과 달걀 껍데기의 강도가 약해져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발현되거나 또는 적게 발현되게 할 수 있습니다. FLT1 단백질은 임신 기간 동안 배아 바깥쪽에 위치한 배아세포에서 만들어지고 이것이 엄마의 혈관으로 들어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태아의 FLT1 유전자 발현 정도가 엄마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한 것이죠. 우리 주변에는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