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전원
촌
향촌
벽지
지역
향리
d라이브러리
"
시골
"(으)로 총 422건 검색되었습니다.
빈곤과 환경파괴의 악순환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버섯처럼 자라나는 도시문제는 심각하다.보다 나은 삶이라는 신기루를 찾아 농촌과
시골
을 버리고 몰려든 사람들로 제 3세계 도시들은 넘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도시의 대부분에서 절반 가까운 주민들은 빈민가의 판자촌에서 살고 있다. 이곳에서 식수 공급, 하수도 설비, 쓰레기 수거, 질병 예방 ... ...
심전도 데이타처리를 중심으로 한 의료자동진단과 컴퓨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ECG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이러한 시설이 가능하다면 조그만 병원 또는 개업의나
시골
의사들까지도 그들의 진료실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대형 컴퓨터의 서비스센타의 정규 이용자가 될 수 있다. 이들은 진료실을 이탈하거나 값비싼 하드웨어의 투자 없이도 대형 디지탈컴퓨터의 온라인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보호한다고 해서 아예 곤충채집이 금지돼있는 형편입니다. 식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시골
에 가보면 1년생 야생화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실감할 수 있읍니다. 또 산의 나무에는 꽃이 피지만 꽃피는 풀은 많이 줄었지요. 이것은 꽃가루를 매개해주어야 할 벌같은 곤충이 산에다 마구 뿌려대는 농약에 ... ...
콩나물의 식품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콩나물은 대부분이 수입 흰콩이나 국내에서 생산한 흰콩으로 기른 것들이다. 그렇지만
시골
에서는 아직도 나물콩으로 콩나물을 기르고 있다.일본에서는 콩나물용 나물콩의 수입과 값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콩나물콩 수입조합을 만들어 콩나물업계와 소비자 사이의 이익을 도모하고 있다 ... ...
한국의 MIT지향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개교이후 지금까지 11명의 졸업생과 9명의 교수들이 노벨상을 수상했다.칼텍도 처음에는 '
시골
(서부) 사막에서 학교가 될 리 없다'는비관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쇼클리' '아인슈타인' '오펜하이머' 등 세계적인 석학을 교수로 초빙하여 대학원 중심의 연구대학을 성공시키자 MIT 버클리 등 동부의 명문 ... ...
우체국에서 정보센터로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체신부 주도하에 우체국 전산화작업(Post Project)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현재
시골
구석구석에 컴퓨터가 들어간 것은 우체국뿐일 것입니다. 첨단의 흐름을 체신부가 앞장서서 전국 방방곡곡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지요. 전국에 3천개의 우체국이 있는데 이를 네트웍화 한다면 모든 국민이 ... ...
도시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공기가 탁하여 목이 컬컬하고, 세째는 여름철에 아스팔트 노면에서 치솟는 열기가
시골
의 더위보다 훨씬 견디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잠깐동안의 서울 나들이에서 체험한 도시 기후의 한 측면을 언급한 것이다. 요즈음 신문 텔레비전 등의 매스컴에서 도시기후에 관한 내용이 간혹 다루어지고 ... ...
서울의 소음공해, 위험수준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있다. 그 이유는 사람에 따른 감수성 의차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음이 전혀 없는
시골
의 한적한 방에서의 소음도가 30dB(A)라 한다면 일반적으로 35dB(A)인 환경에서는 잠들기 까지의 소요시간이 약 2배로 늘어나며 잠을 깨는 시간도 10% 쯤 빨라진다고 한다.작업능률과 대화도 소음의 영향을 크게 ... ...
민물고기, 디스토마와 중금속 오염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몇시간만 잡으면 한끼 반찬은 좋이 되었던 그런 자연의 시대도 있었다.그러나 지금
시골
의 냇물에는 고기가 없다. 우렁도 고동도 살지 않는다. 어쩌다 용케 살아 남은 몇마리의 고기가 발견 되기는 해도 이미 천렵을 하거나 아이들이 손으로 훔쳐 잡을 정도는 아니다.아주 작은 냇물이나 논물을 대는 ... ...
지구촌의 사람들 인구추세, 사망률 그리고 삶의 질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많아진것이다. 지구촌 어디에서나 살곳을 옮기는 유형은 비슷하고 예측이 가능하다. 즉
시골
에서 도시로, 저 개발국가에서 보다 개발된나라로 사람들은 옮겨가는 것이다. 남자들은 밥벌이를 하는 사람들이며 전쟁을 담당한 사람들, 여자들보다 모험적이어서 살기 좋다고 생각되는 곳으로 떠나는 ... ...
이전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