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자루의 과학’ 참조).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호영 교수팀은 지난 연말 저명한 물리학
저널
인 ‘피지컬리뷰레터스’에 펜으로 글씨를 쓰는 원리에 대한 논문을 실었다. 수시로 잉크병에 찍어 써야하는 깃털로 만든 펜을 대신해 나온 게 만년필(엄밀하게 말하면 펜촉을 잉크에 찍어 쓰는 딥 펜을 ... ...
문화기술의 빛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쓰이지 않고 있다. 이 교수가 이끄는 컴퓨터그래픽스 연구실은 최고 수준의
저널
인 ‘자동 로봇(Autonomous Robot)’과 ‘시그래프(SIGGRAPH)’에도 논문을 게재하는 등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를 하고 있다.현재는 일반 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하드웨어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박창수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2009년 1기 신입생을 받기 시작했지만 최근 3년간 네이처, 사이언스 등 권위 있는 과학
저널
에 제 1저자로 게재된 논문 수는 이미 KAIST나 포스텍을 뛰어넘었다. 2차전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쌓고 있고 학부생이 SCI급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제는 세계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이공계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 뒤 재갈이나 안장 같은 마구를 고안해 본격적으로 길들였다는 것이다.지난 2009년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는 약 5500년 전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보타이 문화 유적지에서 말 화석과 마구, 말젖이 묻어있는 그릇을 발굴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그 당시 이미 말의 가축화가 상당히 진전됐음을 보여주는 ... ...
사람도 물 위를 달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로 줄어든다면 인간도 물 위를 달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실험결과는 7월 18일 과학
저널
‘플로스원’에 실렸다.연구팀은 6명의 실험대상자에게 작은 물갈퀴가 달린 신발을 신기고 물을 담은 소형 풀에서 제자리 뛰기를 하게 하도록 했다. 대상자가 받는 중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몸을 ... ...
9개월 아기도 언어 구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뉴욕대 심리학과 연구진이 ‘발달심리학
저널
’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생후 9개월 된 유아들이 사람과 동물의 소리에서 언어와 비언어를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9개월 무렵 유아에게 사람과 앵무새의 언어 소리와 비언어 소리를 ... ...
그 침팬지가 호두를 깨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도구를 사용해 견과류 껍질을 깨트리는 것은 사람이 아닌 유인원에겐 상당히 복잡한 작업이다. 그런데 침팬지는 가장 무거운 망치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 스스로 고르며, 과거의 학습 경험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과학
저널
‘플로스원’ 7월 18일자에 공개됐다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창조론자 요구에 항복하다(South Korea surrenders to creationist demands)’.영국의 과학
저널
‘네이처’ 6월 7일자에 실린 기사의 제목이다. 자유기고가로 활동하는 박수빈 씨가 기고한 기사로 네이처 홈페이지를 뜨겁게 달궜다. 도대체 우리나라에서 진화론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났던 걸까.‘진화론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스티브 잡스? 땡! 아닙니다. 바로 저, 제임스 사이먼스입니다. 미국의 경제지 월스트리트
저널
에서는 제가 2010년 한 해 동안 총 2조 9000억 원의 수입을 올렸다며, 세계 최고의 연봉을 받는다고 보도하기도 했어요.그런데 전 경영학이나 경제학 전공자가 아니라, 수학자랍니다. 수학을 이용해 복잡한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메커니즘은 지난 2010년 밝혀졌다. 최해천 서울대 교수팀이 영국 과학학술지 ‘실험생물학
저널
’에 날치의 비밀을 밝힌 것. 날치는 폭이 15cm인 양 지느러미(가슴지느러미과 배지느러미)를 활짝 편 뒤 수면에서 수 cm 떠 행글라이더처럼 미끄러지듯 난다. 비밀은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의 각도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