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있다.Q2 과학동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가 있다면?2015년 10월호에 실린 파브르 100주년 기념 특집 기사다. 곤충 특집 기사가 나왔길래 관심이 쏠렸다. 표지부터 예뻤다. 그리고 ‘갈로아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는 김도윤 형은 우리나라 최초로 신종 갈로아벌레를 채집해 연구한 학생이에요’라는 ... ...
- [특집] 기네스 북에서 찾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명을 달성했어요. 방탄소년단은 유튜브에서 24시간 내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의 주인공이기도 해요, ‘다이너마이트’ 영상이 2020년 8월 21~22일 사이 1억 110만 번 시청됐죠. 참고로 ‘아기상어’ 유튜브 영상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81억 회의 조회수 기록을 가지고 있어요. #세상 가장 빠른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단점은 통에 모인 용변을 주기적으로 갈아줘야 한다는 거예요. 진공 상태의 우주 공간으로 용변을 바로 내보낼 수도 있겠지만, 오류가 발생해서 비행사가 진공에 노출되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어요. 목숨을 잃을 수도 있고요. Q 달 화장실을 만들면서 무엇이 어려웠나요?아이디어를 내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프로그래머에게 영화 속 해킹 장면을 보여준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탈피’라고 부르지요. 성장이 빠른 어린 개체일수록 자주 탈피를 하는데, 짧게는 1~2주에 한 번씩 하기도 해요. 자연에서는 알아서 탈피를 하지만, 사육할 때 탈피를 잘 하지 못해 남은 껍질이 몸에 붙어 있는 경우엔 작은 집게로 껍질을 벗겨줘야 해요. 영상 속 유튜버가 반려 도마뱀의 탈피를 ... ...
- [술기로운 동물원 생활] 턱끈펭귄 │ 동물원 수의사가 남극에 간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학생실습생으로 인연이 되어일을 시작했고, 현재는 진료사육팀장을 맡고 있다 ... ...
- [특집] 찬란한 태양빛에서 전기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바꾸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배터리가 없는 게임기’소. ▲ 미국 뉴저지 주에 있는벨 웍스 연구소의 모습.건물의 유리창에 투명 태양전지가 설치되어 있다. 매년 전기자동차 100대가 7000km를 운행할 수 있을 만큼의 전기 에너지가 생산된다. 태양전지가 투명하다면?태양전지는 반도체를 ... ...
- [시사과학] 올겨울, 독감 예방 주사 맞아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차단하려는 이유예요.질병관리청은 평균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과가 접종 후 2주 후부터 나타나는 것을 고려해, 11월 전에 백신 접종을 마치기를 권장하고 있어요. 초등학생은 10월 19일~30일이 집중접종 기간으로 지정되어 있죠. 상온 보관한 백신 때문에 예방 접종 중단되다! 그런데 지난 9월 ... ...
- [과학뉴스] 악어가 헬륨 가스를 마시면? 엉뚱한 노벨상, 이그노벨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노벨상 발표를 약 3주 앞둔 9월 17일,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발간하는 유머과학잡지 에서 괴짜 노벨상이라 불리는 ‘이그노벨상’ 올해 수 ... 용어정리*공명 :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 이때의 특정 주파수를 공명주파수라고 한다 ... ...
- [이달의 과학사] 긴급전화 119, 언제 만들어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잘못 걸릴 수 있는 ‘111’이나 다른 번호와 겹치는 ‘000’을 피해서 고른 번호였죠. 첫 주에만 1336건의 전화가 걸려올 정도로 성황을 이뤘죠.현재 긴급 신고 번호 제도는 세계로 퍼졌습니다. 긴급 신고 번호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데요, 미국은 911, 오스트레일리아는 000, 뉴질랜드는 111을 쓰고 ... ...
- [쇼킹 사이언스]마블 캐릭터 닮은 곤충이 있다?! 호주 신종 파리 5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것은 종 연구에 대한 시작을 의미해요. CSIRO의 브라이언 레서드 곤충 박사는 “호주에 사는 곤충 중 25%만이 과학적으로 알려져 있고, 종 이름이 붙었다”며 “종에 이름을 짓고, 그들을 구별할수록 자연과 사회에서 그들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서 신종 발견의 가치를 말했답니다.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