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정말 영리하고 물리적인 감각이 뛰어난 사람이었죠. 저는 그와 함께 연구하는 게 참 좋았습니다. 그때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지 않았다면 분명히 물리학에 아주 훌륭한 기여를 했을 거라고 확신해요. 지금도 그가 그립습니다.” ‘최종 이론’을 꿈꾸며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자연에 존재하는 네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수가 소수인지아닌지 판별하는 문제는 한동안 NP문제이면서 P인지 아닌지 몰랐습니다. 한참 동안 P에 매우 가까운 알고리듬만 알려져 있었지요.그런데 2002년 인도 칸쿠르 공과대학에 갓 입학한 두 학생 니라지 카얄과 니틴 삭세나, 그 지도교수 마닌드라 아그라왈이 n자리 자연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화면을 맞춰 보여 준답니다.어때? 28년이라는 시간 동안 이렇게 큰 변화가 있었다니 참 신기하지? 이번에 본 기사 내용을 엄마, 아빠와 함께 이야기 나눠 보자. 엄마 아빠가 ‘그땐 그랬지’라며 어렸을 때의 이야기를 들려주실 거야. 오락실과 마이마이, 벽돌폰 말고 또 어떤 재밌는 추억이 있을까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개를 곱해 암호를 만들고, 소수를 암호를 푸는 열쇠로 사용한다.그런데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이런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소리가 된다. 그래서 몇몇 수학자들은 리만 가설이 해결되면 획기적인 소인수분해법도 개발되리라고 보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것이 전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말한다. ...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초록색 오로라보다 높은 곳에 생기는 빨간색 오로라를 볼 수 있답니다.어허~! 거참 신통방통 하구먼. 저 비단 모양을 보고 우주 날씨까지 알아낼 수 있다니! 지금까지 적기를 보고는 재앙이 닥친 줄 알고 엄청 겁을 냈는데, 이제 그럴 필요가 없겠군 그래. 앞으로는 하늘에 적기가 나타나면 유심히 ... ...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전세계에서 모인 로봇들과 이를 구경하려는 사람들로 붐비고 있습니다. 저도 로봇 참 좋아하는데요, 제가 직접 가까이 다가가 로봇들을 관찰해 보겠습니다. 생체모방이 답이다!로봇들이 동식물을 따라한다니 정말 재밌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생체모방로봇’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冖)면 사랑하는 마음(心)이 천천히 걸어온다(夊)’는 의미지요. 뜻을 알고 나니 사랑이란 참 아름다운 마음이죠?한편, ‘교(嬌)’는 여자 ‘녀(女)’와 높을 ‘교(喬)’가 더해져 만들어졌어요. 여자가 뛰어나게 아름답다는 뜻이지요.腦뇌(골 뇌)뇌는 우리 몸을 통솔하는 중요한 기관이에요. 뇌를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똥이 잘 분해 되고 있다는 의미지요. 제가 개발한 정화조가 잘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참 기뻤답니다.Q 가족들이 싫어하진 않았나요?생각보다 집에서 싫어하지 않았어요. 고마운 일이지요. 똥을 채취하러 갔다가 시간이 늦어지면 그냥 집에 갖고 가는 날도 많았어요. 그럼 똥이 상하지 않게 집에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종종 곤충이나 새의 알, 다람쥐 등을 먹으며 육식을 하기도 한답니다.넌 사람들이랑 참 닮은 것 같은데….맞아요. 사람과 생김새가 닮았을 뿐만 아니라 진화학적으로도 다른 동물들에 비해 사람과 가장 가까워요. 인간과 침팬지는 400만 년~600만 년 전까지 공통 조상을 갖고 있다가 갈라졌거든요.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런 위기가 발생했는데, 컴퓨터공학자들의 노력으로 무사히 넘어갔다(124쪽 Inside 참조). 하지만 이번 소프트웨어의 위기는 전보다 해결하기 어렵다. 일을 하나씩 처리하는 기존의 방식(폰노이만 방식)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5세대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가 마주할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