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
호
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바라보는 각도를 정확히 측정할 때 멀리 떨어진 별의 위치를 기준으로 삼는다.천리안 2B
호
의 해양탑재체와 환경탑재체 역시 직접 별을 촬영하고 실제 별이 있어야 할 위치 데이터와 비교해 탑재체가 인식하고 있는 각도와 실제 바라보는 각도의 오차를 추정했다.그 다음 지구로 고개를 돌려 지상과 ... ...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뜰 새 없이 바쁜 고등학교 생활에도 과학동아는 꼭 챙겨본다고 덧붙였다. 과학동아 10월
호
에선 영화 ‘테넷’을 엔트로피 개념으로 설명한 기사에 꽂혔다. 홍 군은 “책을 본 뒤 며칠 후 화학 수업 시간에 엔트로피 개념에 대한 설명이 나왔다”며 “책에서 읽은 내용을 토대로 수업 시간에 질문도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추진 장치로는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가기 힘들어요. 초속 17km로 날아가는 보이저 1
호
의 속력으로도 7만 년이 넘게 걸리지요. 그래서 빛의 속도의 10%까지 다다를 수 있는 새로운 추진 방식들이 연구되고 있어요.올해 NIAC에 선정된 ‘반물질 추진 장치 연구’도 그중 하나예요. 원자를 구성하는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중력 지도를 그릴 수 있답니다! ●인터뷰 “귀여운 로봇을 기대해 주세요!”벤자민
호
크먼(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 Q어디서 발상을 얻으셨나요?소행성 ‘베누’를 관찰한 나사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는 소행성 표면의 바위들이 가끔 우주로 튀어 나간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당시 덴마크 유제품 가공 회사였던 다니스코 소속 로돌프 바랑고우 박사와 필리프
호
바스 박사는 박테리아가 바이러스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것이 크리스퍼 덕분임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이들은 바이러스에 면역을 가진 유산균을 발견하고 여기에 바이러스의 DNA 일부가 저장됐음을 밝혔다.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높았습니다. 이 부연구위원은 “나뭇가지나 바위틈에 둥지를 트는 참새가 도심에서는 신
호
등 위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많다”며 “비행에 서툰 참새 새끼는 물론 어미까지도 차량 등과 충돌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철새 중에서는 여름철새의 충돌 사고가 더 많습니다.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아나시스(ANASIS) 2
호
’를 실어 올렸다. 아나시스 2
호
는 기존에 사용하던 무궁화 5
호
에 비해 데이터 전송 용량이 2배 이상 많고, 통신할 수 있는 거리가 길다. 해킹이나 통신 간섭으로부터도 더 안정적이다. 이르면 10월 중 군에 인수될 예정이다. 사정거리 50km 자주포 K9A1 육군은 K9 자주포를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7년 개발했단다. 내 이름은 1957년 11월 3일 소비에트 연방이 개발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2
호
에 실려 세계 최초로 우주로 날아간 개인 ‘라이카’의 이름에서 따왔어. 유니트리 로보틱스 왕싱싱 대표는 “라이카는 탐험의 상징”이라며 내 이름의 유래를 설명했단다. 너 다른 라이카고보다 좀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초신성의 잔해 속에서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어린 별 주위에서 행성이 태어납니다. 이번
호
에서는 우주에서 새로운 행성이 만들어지는 영역을 탐험해보겠습니다. ※ 편집자 주 수학동아는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 매달 천문학 분야의 시민과학프로젝트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천문대에서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쇄빙연구선 아라온
호
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아라온
호
의 예상 항로를 미리 탐사하는 자동 시스템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 단장은 “앞으로는 인공위성 관측 정보를 얼마나 많이 보유하는가가 국가나 기관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