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뜰 새 없이 바쁜 고등학교 생활에도 과학동아는 꼭 챙겨본다고 덧붙였다. 과학동아 10월
호
에선 영화 ‘테넷’을 엔트로피 개념으로 설명한 기사에 꽂혔다. 홍 군은 “책을 본 뒤 며칠 후 화학 수업 시간에 엔트로피 개념에 대한 설명이 나왔다”며 “책에서 읽은 내용을 토대로 수업 시간에 질문도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중력 지도를 그릴 수 있답니다! ●인터뷰 “귀여운 로봇을 기대해 주세요!”벤자민
호
크먼(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 Q어디서 발상을 얻으셨나요?소행성 ‘베누’를 관찰한 나사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는 소행성 표면의 바위들이 가끔 우주로 튀어 나간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추진 장치로는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가기 힘들어요. 초속 17km로 날아가는 보이저 1
호
의 속력으로도 7만 년이 넘게 걸리지요. 그래서 빛의 속도의 10%까지 다다를 수 있는 새로운 추진 방식들이 연구되고 있어요.올해 NIAC에 선정된 ‘반물질 추진 장치 연구’도 그중 하나예요. 원자를 구성하는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
호
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바라보는 각도를 정확히 측정할 때 멀리 떨어진 별의 위치를 기준으로 삼는다.천리안 2B
호
의 해양탑재체와 환경탑재체 역시 직접 별을 촬영하고 실제 별이 있어야 할 위치 데이터와 비교해 탑재체가 인식하고 있는 각도와 실제 바라보는 각도의 오차를 추정했다.그 다음 지구로 고개를 돌려 지상과 ... ...
[비하인드 로켓] 태풍을 이겨낸 나로
호
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더 나쁘다는 다소 이해할 수 없는 질책도 나왔다.그러나 이 모든 압박을 견디고 나로
호
는 2013년 1월 30일 다시 한 번 발사대에 섰다. 3번째 발사, 3번째 시도, 마지막 기회였다. 운명의 카운트다운 순간이 다가왔다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높았습니다. 이 부연구위원은 “나뭇가지나 바위틈에 둥지를 트는 참새가 도심에서는 신
호
등 위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많다”며 “비행에 서툰 참새 새끼는 물론 어미까지도 차량 등과 충돌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철새 중에서는 여름철새의 충돌 사고가 더 많습니다.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아나시스(ANASIS) 2
호
’를 실어 올렸다. 아나시스 2
호
는 기존에 사용하던 무궁화 5
호
에 비해 데이터 전송 용량이 2배 이상 많고, 통신할 수 있는 거리가 길다. 해킹이나 통신 간섭으로부터도 더 안정적이다. 이르면 10월 중 군에 인수될 예정이다. 사정거리 50km 자주포 K9A1 육군은 K9 자주포를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떠서 담기도 하고, 해빙 표면에서 지름 10cm의 얼음 기둥을 시추하기도 한다. 아라온
호
에 탑재된 헬리콥터를 타고 인공위성보다 낮은 고도에서 해빙을 관측할 때도 있다. 현장 조사에서는 예상치 못한 일이 종종 발생한다. 2019년 북극 항해 당시에는 북극 해빙의 움직임을 조사하기 위해 해빙 표면에 ... ...
[과동키즈] 과학고 출신 의사에서 국회의원이 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기회였다.Q3. 과학동아에 바라는 점은?과학동아는 내가 직접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대한
호
기심을 충족해주는 매체였다. 미디어가 발전하며 디지털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여전히 지면도 발행한다는 점이 인상 깊다. 과학동아가 앞으로도 꾸준히 미래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매체가 되길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쇄빙연구선 아라온
호
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아라온
호
의 예상 항로를 미리 탐사하는 자동 시스템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 단장은 “앞으로는 인공위성 관측 정보를 얼마나 많이 보유하는가가 국가나 기관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