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기관"(으)로 총 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와 함께 자동차의 내연기관을 만들어라!기사 l20160913
- 방법을 설명하는 영상이었습니다. 조금 길었지만 못과 부품 하나하나 보여주는 동영상이었습니다. 설명을 들으면서 내연기관의 여러 부품들을 부르는 명칭을 알게 되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이 피스톤과 크랭크 축입니다. 그 부품들 중에서 연료를 크랭크 축으로 보내는 벨브가 흡기벨브, 배출시키는 것이 배출벨브입니다. 연소실은 ...
- 서울 서초 에코마우스 160910-21탐사기록 l20160910
- 양옆에 붙어있는 더듬이다리 (?) 같은 한쌍을 이용해 먹이를 붙잡기도 하고 입으로 넣을때 도와주기도 하는 모습이 너무 귀여워요~^^그 기관의 정확한 명칭이 무얼지 궁금하네요..날개를 넓게 펼치고 비비며 노래하는 울음소리 녹음한 소리와 먹이 먹는 동영상을 확인해 보세요 ... ...
- 출동! 섭섭박사- 자동차 내연기관 조립포스팅 l20160907
- 오늘 동아사이언스에 가서 섭섭박사님과 다른 친구들과 함께 자동차 내연기관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내연기관이 만들기 어렵지 않고 오히려 재밌더라구요. 게다가 이 키트는 귀한 거라는데 이런 귀한 경험을 주신 어린이 과학동아에 감사드립니다. 저와 어린이 과학동아의 시간은 얼마남지 않았지만 더 열심히 활동하겠습니다. 다시한번 정말 ...
-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발자취 2 - 쓸쓸한 제주 유배지와 세한도 탄생 이야기기사 l20160906
-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에 걸어 놓았다는 것을 김정희 기념관 안내지에서 보았기 때문입니다. 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입니다. '의문당'은 추사의 스승 완원의 호이며, 학문을 할 때 의문을 가지고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 정신을 가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랑 동생도 김정희 선생님의 현판 글씨가 궁금했는데 직접 김정희 선생님 ' ...
- 2016년 제13회 대구과학축전을 다녀와서기사 l20160904
- 1층에서 열렸습니다. 참가자가 과학을 직접 체험하는 행사로 초등 20개, 중등 14개, 고등 26개의 학교가 참가했고 그 외 정부와 대학 연구기관 등에서도 참여하여 많은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하였습니다. “과학, 대구의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체험 활동은 물론, 세미나와 음악 공연, 골든벨, 매직쇼, 가족 과학 교실 ...
- 흔적기관포스팅 l20160901
- ...
- 피서를 앞두고...탐사기록 l20160629
- 개울가에서 고기를 잡아먹는 천렵의 향수를 만끽하고 싶을 뿐입니다. 그러므로 고의가 없기에 책임을 물을 순 없습니다.또한 관할기관, 지자체에 멸종위기종에 대한 홍보 부족도 있었습니다.1종이 없어진다고 중요한가?이동네엔 많아서 괜찮아그깟 물고기 쯤이야 이런 반응을 보이는 분들이 적잖을 겁니다.어류는 먹고살기 힘들 때 유용한 단백질 공급원이었고 고 ...
- BMW 드라이빙 센터 체험을 하고 자동차 디자이너를 꿈꾸다기사 l20160622
- 충격 완화 장치, 4행정 기어 등 구체적인 기관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를 토대로 직접 자동차를 디자인하는 것이었습니다. 복잡한 기관들도 그림으로 볼 수 있었어요. 선생님께서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저는 보고 배운 것을 참고로 자동차를 만들었습니다. 미술 시간에 만드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이었고 흥분되 ...
- BMW 드라이빙 센터 주니어 캠퍼스- 자동차 속 과학원리를 찾아서!기사 l20160618
- 충격완화 장치, 저속 기어와 고속 기어로 속도를 조정하는 크랭크 축, 수소, 전기, 태양열 등 친환경 에너지, 에너지를 만드는 4행정 기관 등을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또 친환경 자동차를 직접 타 보았습니다. 평소 잘 볼 수 없던 친환경 자동차라 그런지 살짝 떨리기도 하고 설레기도 하였습니다. 옆을 지나가는 다양한 모델의 자동차도 ...
- 만 나이 VS 한국식 나이, 어떤 것을 사용할까?토론 l20160516
- 그대로 쓰는 것이 좋다는 의견과 만 나이를 써야 한다는 의견이 서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지난 3월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529명을 대상으로 한국식 나이와 만 나이 사용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한국식 나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응답이 46.8%, ‘만 나이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