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옹이
나비
고냉이
괭이
나비야
늙은 암코양이
소녀
뉴스
"
고양이
"(으)로 총 891건 검색되었습니다.
선형대수-심층신경망-기계학습…주제는 달랐지만 열기는 뜨거웠다
과학동아
l
2019.10.19
다른 색으로 염색해줘’와 같은 명령은 AI가 쉽게 수행하죠. 하지만 ‘사람 얼굴을
고양이
로 바꿔줘’와 같은 명령은 아직 잘 수행하지 못합니다. 즉, 하나의 개체를 아예 성격이 다른 개체로 바꾸는 건 잘 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앞으로 이것이 인공신경망의 과제가 될 겁니다.” 9월 2일 경기도 ... ...
몸이 투명한
고양이
? 화제
팝뉴스
l
2019.10.18
해진다.
고양이
의 몸에 구멍이 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바꿔서 표현할 수 있다.
고양이
몸 중 일부가 투명한 것만 같다. 뒤의 배경이 그대로 보인다. 착시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네티즌들의 지배적 의견이다. 몸통의 점 색깔과 배경의 흙 색이 똑 같아서 시각적 혼란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 ...
고양이
의 덩크 슛
팝뉴스
l
2019.10.17
것 같다. 다이내믹하면서 정교하다는 평가다. 아마도 농구공이 림에 들어가는 순간
고양이
가 점프를 해서 앞발을 뻗었는데, 그 순간이 절묘하게 포착되었던 것 같다. 우연한 상황이라고 해도 사진은 굉장히 역동적이고 드라마틱해서 네티즌들의 시선을 한몸에 받았다. ※ 편집자주 ... ...
눈물 맺힌
고양이
‘마음 아파’
팝뉴스
l
2019.10.12
바라본다. 사진을 확대하면
고양이
의 눈이 빛난다. 마치 슬픔에 젖은 눈처럼보인다.
고양이
는 자신은 안중에도 없는 주인 때문에 서러워 하는 것 같다. 해외 네티즌들은 반려동물 모두에게 골고루 사랑을 줘야 한다고 강조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집을 빼앗긴 멍멍이
팝뉴스
l
2019.10.03
차지했다. 옆에 있는 개는 어쩔 줄 몰라할 뿐 행동을 취하지 못한다. 개가 더 불쌍한 것은
고양이
의 자세 때문이다. 기지개를 켜고 있다.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많은 네티즌들은 개의 입장을 안타깝게 여긴다. 툭치거나 슬쩍 밀어내도 될 것으로, 개는 소심하게 바라만 ... ...
새끼
고양이
발바닥의 마력
팝뉴스
l
2019.10.03
고양이
의 발바닥이 귀엽다’는 평가에 반대할 사람은 극소수일 것이다. 위 사진은
고양이
를 좋아하지 않는 네티즌들의 심장까지 떨리게 만드는 힘을 갖는다는 평가다. 한 네티즌은 “분홍색 발바닥이 마력이라고 부를만한 매력을 갖고 있다”고 평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 ...
[인류와 질병] 크레이지 캣 레이디
2019.09.28
대부분 톡소포자충에 감염되지 않은 깨끗한
고양이
다. 과거에는 미국 등에서 임산부에게
고양이
를 피하도록 권유했지만, 지금은 그런 권고가 의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음 편 미리 보기 ┃ 엡실론 4 유전자 건강한 사람의 뇌(왼쪽)과 중증 치매 환자의 뇌(오른쪽). 중증 ... ...
고양이
도 개만큼 주인 잘 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고양이
는 주인과 유대감을 잘 형성하지 않는다는 통념과 달리 인간 아기나 개와 비슷하게 보호자와 유대감을 형성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 ...
고양이
가 이런 식으로 행동한다는 편파적인 사고방식이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사실
고양이
중 대다수는 주인에게 의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강아지 구충제로 암 치료? 약사회·정부 "검증되지 않은 약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통해 완치된 환자가 50명이 넘는다"고 주장했다. 조 티펜스 블로그 캡처 펜벤다졸은 개나
고양이
의 회충 등 내부 기생충을 잡는 데 쓰이는 동물용 구충제다. 한국에서는 동물용 약제로 허가를 받았다. 인간 구충제인 메벤다졸 등과 함께 벤조이미다졸계의 약제다. 벤조이미다졸계 구충제는 기생충의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급상승하고 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25%까지 증가했다. 네 명 중 한 명이 감염된 것이다.
고양이
를 점점 많이 키우기 때문이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