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대
당신
뉴스
"
너
"(으)로 총 460건 검색되었습니다.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있을 것이므로 혈장이 치료제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랫의 상태는
너
나빠졌고 정신착란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다행히 11월 20일부터 상태가 호전됐다. 그리고 포턴다운이나 플랫의 친지 가운데 감염자가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1977년 크리스마스에 파리의 안락한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한다. 마지막으로 시도해 본 게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였다. 즉 몸의 에
너
지원을 포도당에서 케톤체로 바꾸는 다소 과격한 다이어트법으로, 아이는 크림이나 버터 같은 고지방 식품을 집중적으로 먹어야 한다. 그 결과 놀랍게도 6주 만에 발작이 사라졌다고. 글에 따르면 고지방 저탄수화물 ... ...
[표지로 읽는 과학] 개구리 피부 단백질로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7.13
아종이 존재하는데, 개발 중인 백신은 이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졸라퍼즈
너
교수는 “백신 개발자는 일반 백신의 개념을 뛰어 넘는 백신을 생각해야 한다”며 “HIV 백신은 한 분자에 여러 항체가 붙어있는 형태여야 하며 일반 백신 보다 양을 많이 줘야 HIV에 대해 강하고 빠른 ... ...
사지마비 환자 뇌에 칩… “생각만 했는데 손이 움직여요”
동아일보
l
2014.06.26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4일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웩스
너
의료센터는 소속 의사들과 비영리 연구단체 바텔의 기술자들이 공동 개발한 ‘뉴로브리지(Neurobridge)’ 기술을 적용해 사지가 마비된 이언 버크하트 씨(23)의 손을 본인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고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결과를 실었는데 무척 흥미롭다. 포유류는 알을 낳는 원수아강(原獸亞綱, 오리
너
구리 같은 단공류)과 새끼를 낳는 수아강으로 나뉘고 수아강은 다시 태반포유류와 유대류로 나뉜다. 그런데 게놈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오늘날 인간으로 이어온 Y염색체 진화는 수아강에서부터 일어났다는 사실이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제비가 돌아와 부산스럽게 집을 지을 채비를 하고 있었다. 올해도 제비와 함께 지내게 돼
너
무 신난 필자는 혹시나 제비가 물어온 박씨가 있나 주변을 살피기도 했지만 물론 찾지 못했다. 그러나 그 뒤 수년 사이 안양에서 제비는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여담이지만 ‘흥부전’ 스토리의 ... ...
‘나’도 모르는 내 마음, ‘뇌’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9
이 책은 21세기 신경과학의 고전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수학과 세계(루돌프 타쉬
너
著, 알마 刊) 세상 모든 것을 수로 계산할 수 있을까. 이 질문과 씨름한 수많은 수학자들의 도전 덕분에 현대인의 삶에 수학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분야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여전히 세상에는 ... ...
하버드大출신 25세 미국 청년 아벨 아쿠냐 “제가 한국에서 스타트업 창업한 이유요?”
동아일보
l
2014.01.15
하버드대와의 교류를 위해 그의 도움을 요청한 것이 시작이다. 그는 이듬해 한국으로 건
너
와 공동 창업에 뛰어들게 됐다. 스타트업 창업 과정에서 가장 충격을 받은 대목은 한국 젊은이들의 편협한 기업관이었다. 그는 “한국에서는 우수한 능력을 지닌 사람은 무조건 삼성이나 현대자동차 같은 ... ...
나도 비트코인 지갑 하나 가져 볼까?
수학동아
l
2013.12.27
큰 관심을 받았다. 심지어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7살 어린이도 수학동아 표지가
너
덜
너
덜해질 때까지 보았다는 이야기가 들려왔다. 독자들이 매호 그렇게 수학동아를 봐준다면 정말 좋겠다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옛이야기’, 최내경 옮김, 웅진닷컴) 한편 독일의 그림 형제는 페로 버전의 결말이
너
무 잔혹하다고 생각해 이 부분을 바꾼 ‘빨간 모자’를 1812년 펴낸 민담집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에 수록한다. 이 버전에서는 빨간 모자를 잡아먹고 포만감에 코를 골고 자던 늑대를 마침 지나가던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