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퇴축
퇴행
소모증
변질
소모
폐퇴
움츠림
뉴스
"
위축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이 영역은 신체적인 고통을 겪을 때 활성화된다. 한편 전전두엽피질의 활동은
위축
됐는데 역시 신체적인 고통을 당할 때와 같은 경향이다. 즉 뇌의 활동 패턴만 봐서는 이 사람이 신체적 고통을 겪는지 심리적 고통을 겪는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다. 슬픈 일을 겪을 때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는 ... ...
서아프리카의 전례없는 에볼라 ‘팬데믹’, 왜?
과학동아
l
2014.07.29
철수시키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에볼라바이러스로 인해 해당지역의 경제활동이
위축
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과학동아 기사 더보기] 에볼라(Ebola) 바이러스는 왜 이토록 치명적일까?(2014년 5월)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2013년 8월 ... ...
“교육과정 개편 다시 논의하라”
과학동아
l
2014.07.21
제공 과학기술계가 최근 논의 중인 교육과정 개편이 과학교육을
위축
시킬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를 비롯한 18개 과학기술단체는 21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교육과정 개편 재논의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과정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4일만에 죽는 사고가 나면서 제동이 걸렸다. 이 사건으로 유전자치료 연구는 크게
위축
됐지만 다시 전열을 재정비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유전자치료 임상이 늘면서 현재 1700여명이 임상을 받았거나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유전자 추가 vs. 유전자 수리 학술지 ‘네이처’ 6월 1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않지만 칼슘 흡수에 관여하고 유전자 변이로 적정 농도로 존재하지 않으면 근육퇴행
위축
증이 나타나는 걸로 알려져 있다. 주기율표에서 탄소 아래에 있는 실리콘(Si, 14번)도 필요하단다. 우리 몸에 약 20ppm(ppm은 100만 분의 1) 존재해 질량 기준으로 15위다. 실리콘은 뼈 성장에 필수적인 원소로 ... ...
인텔국제과학경진대회(ISEF) 2014 직접 가보니
과학동아
l
2014.05.23
진단할 수 있는 측정 장비를 만들어 4등상을 받았다. 파킨슨병에 걸리면 손목 근력부터
위축
되기 시작한다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 군은 “센서를 더 정밀하게 만들고, 더 많은 데이터를 축적해 파킨슨병을 더 정확하게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밝혔다. 특별상을 3개나 받은 팀도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앞으로 수명이 1000만 년이라는 것. ●X염색체불활성화의 예외 이처럼 점점 더
위축
되던 Y염색체가 모처럼 어깨를 펴고 활짝 웃을 연구결과가 ‘네이처’ 4월 24일자에 실렸다. 성전환 역할이 Y염색체 ‘존재의 이유’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사실 이건 X염색체가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3월 27일자에는 미국 ALS치료제개발연구소 스티브 페린 박사의 기고문이 실렸다. ALS는 근
위축
성측색경화증의 영문 머리글자로 흔히 루게릭병이라고 부른다. 루게릭병하면 스티븐 호킹 박사가 떠오르는데, 사실 예외적인 경우로 호킹을 본 대중들은 이 병에 대해 오해하기 쉽다. 즉 증상은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걸러지지 않은 대량의 정보는 지각을 무뎌지게 한다. 이는 몇몇 정신 장애의 원인이 된다. - 한병철 필자는 최근 독일 베를린예술대학 한병철 교수의 ‘투명사 ... 것도 건강한 상태는 아닌 것 같다. 한병철 교수의 표현을 빌자면 ‘정보의 과다는 사유의
위축
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 ...
서서히 감퇴하는 기억력, 치매의 시작일까?
2014.03.18
오른쪽). 중증 치매 환자는 정상인과 비교해 그 크기가 눈에 띄게 작으며, 내측 측두엽의
위축
이 두드러진다. - 위키피디아 제공 기억력 장애는 최근 기억의 장애로 시작한다. 환자들은 예전에 갖고 있던 기억(어린 시절 이야기, 과거 중요한 사건들)에 대해서는 잘 이야기하면서 최근에 새로 발생한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