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아래아한글 말고는 없기 때문이다.여기에 3.0b는 ‘자체 드로 기능’ 이라는 날개를
달
았다. 물론 OLE지원으로 외부 그래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그림을 불러들여 어느 위치에든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선이나 원 직사각형 등의 그림을 문서 내에서 손쉽게 그려 시각적 아름다움을 더할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공동 추진하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LIGO(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로 2억
달
러 이상의 예산이 투입됐다. 이 LIGO 계획이 완성되면 중력파의 검출이 좀 더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여기에 자극을 받아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연구팀들은 길이 3km의 마이켈슨 간섭계(VIRGO)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아주 깊은 지하로 흐르는 수맥을 탐지하는 능력을 가졌다. 지하의 물길이 마치 녹색의
달
빛처럼 가물거리며 흘러간다는 것이다. 야르스벳드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처럼 그렇게 볼 수 없다는 사실에 오히려 놀랐다고 한다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베트남군이, 밤에는 크메르루지의 게릴라가 번갈아 차지하는 20년간의 지루한 전화에 시
달
리면서 거듭 훼손당하는 운명에 빠지고 말았다. 지난 82년 이루어진 한 조사는 이 지역의 중요 유물 3백점 이상이 사라졌으며 전체 유적의 70%가 복원 불능의 상태로 파괴됐다고 보고하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 ...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나왔을 때의 감회는 킹조지섬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처음 이곳에 도착했을 때와는 크게
달
랐다. 1년 전 거리는 한적하고 어설프고 쓸쓸해 보였다. 인적이 드문 들판은 버려진 듯 보였고 곧 내려앉을 듯한 낡은 자동차들은 가까스로 움직여 나가는 석양의 군상들과 같았다. 그런데 1년 후 다시 보니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돕다가 본인이 직접 탐험에 나섰다. 그는 1986년 혼자 스키를 타고 63일만에 북극점에 도
달
한 경험도 갖고 있었다. 그가 남극에서 도전의 목표로 삼은 곳은 로스섬에 있는 에레부스(Erebus, 3천7백94m)산. 그는 결국 1994년에 활화산인 에레부스산을 정복하고야 말았다. 이것은 1908년 영국의 새클톤이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하는 행위가 공적인 것이 되고 사적인 영역의 행동이 사적 행위가 되는 일상의 관례와
달
리. PC통신이라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이런 공식이 들어맞지 않는다. 같은 사이버스페이스 속에서도 전자우편을 통해 개인 편지를 보내는 지극히 사적인 행위를 하다가도 몇 초만에 게시판이나 토론장에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차원의 노력들이 쏟아 부어졌던 것이다. 과거 우주개발은 군사 경쟁에서 비롯됐다. 물론
달
세계의 정복, 태양계 탐사와 같이 경제성은 없지만 인간의 무한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이뤄진 것들도 있다. 비교적 군사적 수요가 많았던 시절에 재미를 본 회사들로는 오늘날 우주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한편 가니메데는 지름이 5천2백62km로 지구의
달
보다 1.5배가량 큰 목성 최대의 위성. 가니메데의 표면은 암석과 얼음으로 돼 있으며, 그 아래에는 물과 얼음으로 이루어진 맨틀이 있고, 중심부에는 암석질의 핵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무궁화위성은 정지궤도의 한 지점에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다. 위치한 정지궤도는
달
과 태양의 인력 방향과 지구 중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그 위치가 변한다. 그래서 위성이 정지궤도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14일마다 동서 방향으로, 28일마다 남북 방향으로 궤도를 조정해야 한다. 또 위성과 통신하기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