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하늘 어디에선가 하루에 한번 꼴로 일어나는 고
에너지
빛의 미스터리한 플래시.고
에너지
를 갖는 감마선을 폭발적으로 내놓는 감마선 폭발천체가 그 주인공이다. 감마선 폭발천체는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내고는 약해지는데 어떤 것은 몇번에 걸쳐 산발적인 폭발현상을 보이기도 한다.지난 10월 19일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플라스틱도 전기 통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positive soliton)상태가 생기게 된다.이 솔리톤은 VB와 CB의 중간에 위치하는 새로운 솔리톤
에너지
준위를 이뤄 VB로부터 전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금속과 같은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게 한다. 요오드나 오불화비소와 같은 산화제와 반응하면 양의 전하를 갖는 솔리톤을 형성하므로 p-도핑이라고 ... ...
전기자동차는 휘발유자동차를 이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자동차를 ‘표준’으로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내연기관 자동차는 환경문제 또는
에너지
문제가 심각해질 때마다 주요 원인으로 지목받았고, 많은 사람들은 그 ‘대안’으로 전기자동차를 거론해왔다. 전기자동차란 전기를 발생시키는 동력원 - 축전지가 대표적이고 최근엔 연료전지를 이용하기도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가격할 때 최대의 속도가 나오도록 찬다. 어깨와 엉덩이가 상호작용해 만들어진 역학적
에너지
가 대퇴(넓적다리), 하퇴(종아리), 발로 합리적으로 전이돼 타격시에 최대 발끝속도와 충격력을 만드는 것이다.초속 5m가 넘는 채찍질태권도의 발과 주먹을 발동시키는 힘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발과 ... ...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0이면 수소원자를 여러개 모아 놓았을 때 이들은 서로 결합해 모든 전자들이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어떤 수의 원자를 모아 놓아도 분자를 이루게 될 것이다.그리고 광자로 만드는 레이저뿐만 아니라 전자로도 레이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전자는 질량이 있기 때문에 전자로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또는 대상의 크기에 따라 원자물리, 원자핵물리, 입자물리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가장
에너지
가 높고 크기가 가장 작은 대상인 기본입자에 대해서는 양자장이론이, 원자에 대해서는 양자역학이 적용된다면, 원자핵물리에서는 이 두이론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되거나 선택돼 적용된다.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중심부로 갈수록 인공중력이 약해지므로 공기의 부양력을 이용한 비행체는 아주 적은
에너지
만으로도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다. 이 밖에 중력에 따른 아래위 개념의 혼란, 여러가지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간단한 과학적 이론을 응용해 재치있게 빠져나오는 장면 등은 감탄에 감탄을 머금게 한다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탄생한 입자들은 각각 또 다른 입자들을 만들게 돼 걷잡을 수 없이 복잡해지고 이는 흔히
에너지
나 질량 등을 무한대로 만든다. 과학자들은 ‘재규격화’(renormalization)라는 수학적인 방법을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해왔다. 그러나 중력도 양자화해야 하는 크기(이를 플랑크길이라고 하는데 ${10}^{-24} ... ...
스티븐 호킹은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정리를 계기로 블랙홀 연구에 전념했다. 3년 뒤 그는 블랙홀도 입자를 방출하며 질량과
에너지
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결국에는 증발해 없어질 수 있다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즉 양자역학적 효과 때문에 블랙홀 주변의 진공에선 입자와 반(反)입자가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듭하고 ... ...
호킹이 연구하는 최신 막 우주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움직이듯이 우리도 4차원 막에 들러붙어 살고 있다는 것이다.이 4차원 막은 엄청난
에너지
를 가지고 있어서 그 주위의 시공간이 강하게 휘어 있을 뿐 아니라 우리의 우주도 여기에 아주 작게 말려 있어 볼 수 없는 반면 막 우주론은 우주 바깥이 말려있지 않더라도 관측할 수는 없다고 설명한다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