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진관] 내 마음의 어딘 듯 한편에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메시지를 사진에서 읽을 수 있다. 작가의 TIP 쉴렘관이란? 혈관과 림프관의 중간
형태
인 쉴렘관은 방수가 혈관을 통해 전신 순환계로 빠질 수 있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조직이다. 위 작품에서 초록색이 쉴렘관이고, 보라색은 혈관이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 ...
늙고 병든 심장을 젊고 건강하게? 시계 되돌릴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늙고 병든 심장을 젊고 건강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을까. 최근 과학자들이 심장을 뛰게 하는 심장근육세포의 수명을 연장해 심장 기능을 ... 유래한 심장근육세포를 허혈성심근증 환자 3명의 심장에 0.1㎜ 두께의 얇은 시트
형태
로 이식한 뒤 효능을 확인하는 첫 임상시험을 올해 중 추진한다 ... ...
[팔라우 힐링레터] 도미의 짝짓기
2018.04.15
수많은 수컷들이 따라 다니면서 준비된 시간에 여러 마리의 도미들이 체외수정을 하는
형태
로 짝짓기를 한다. 이후 4월이 지나면 다시 깊은 수심으로 내려간다. 세계의 다이버들도 이들이 보이는 짝짓기의 장관을 보려 이맘 때 많이 찾아오곤 한다. 문제는 이곳이 엄청나게 조류가 강하며 ... ...
[출동! 기자단]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3
계획을 묻자 김석준 연구원은 “드론이 또다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새로운 모양과
형태
의 로봇 팔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로봇 팔이 드론 위쪽으로 늘어나거나 직육면체가 아닌 다른 모양으로 만드는 걸 구상하고 있다”고 답했어요. 드론은 한 번에 오랫동안 날 수 없어요. 그래서 로봇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⑦ 내 의식을 로봇에 옮겨심는다면… 써로게이트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오른쪽)의 서로게이트. 실제 인물과 매우 닮았지만 훨씬 젊고 깔끔한 인상을 주는
형태
로 제작됐다. 써로게이트를 이용하면 자신의 외모를 마음대로 바꿔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신분확인은 로봇에 내장된 ID시스템으로 대신한다. 영화 속에서 써로게이트 시스템은 사람이 원하는 ... ...
이성 유혹하는 화려한 외모...종의 몰락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약 8400만년에서 6600만년 사이에 모두 멸종한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암수간 크기와
형태
차이가 큰 종의 경우 100만년마다 멸종할 확률이 0.64로 차이가 작은 종(0.06)보다 훨씬 높았다. 스미스소니언 연구소 고생물학과 진 헌트 박사는 “암수간 차이가 많은 종은 차이가 가장 적은 종보다 10배 빠르게 ... ...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04.11
설명하고 있습니다. 엘라스틴, 케라틴, 콜라겐, 거미줄 단백질 등은 분자 구조가 섬유
형태
여서 얽히고 설켜서 강한 구조를 만듭니다. 하지만 흰자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구형에 가까워서 이런 효과를 얻기 힘들죠. 또 열에 의한 변성과 변성된 단백질이 불규칙하게 뭉치면서 전반적으로 단백질이 ... ...
길이 25m '초거대어룡' 실존했나...화석 새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초거대 어룡의 것으로 분석했다. 딘 박사는 “릴스톡 화석과 어스트 절벽 화석은
형태
나 띠모양 등이 같았다”며 “거대 육상공룡의 화석이라는 반론도 아직 강한데, 보다 많은 화석을 발견해야만 논쟁을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남성 경구 피임약, 상용화 한 발짝 더
과학동아
l
2018.04.09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지 교수는 “DMAU에 들어 있는 운데카노에이트(U)는 긴 사슬
형태
의 지방산으로 체내 분해 속도가 느린 편”이라며 “1일 1회 복용해도 약효가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 ...
혁신기술 기반 ‘실험실 창업’… 청년 일자리 새 해법으로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최근 각광받는 유전자가위 ‘크리스퍼’처럼, 어떤 분야가 발전하려면 그것이 기술의
형태
로 개발돼야 한다”며 “하지만 한국은 파편적인 논문만 내고 기술을 남기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아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나마 극소수 있는 창업도 주로 기술보다 ... ...
이전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