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이오"(으)로 총 5,0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역학, 인공지능...미래를 살아갈 과학교양이 쏟아졌다동아사이언스 l2018.07.21
- 21일 서울대 글로벌컨벤션플라자에서 열린 '2018 사이언스 바캉스'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강연하고 있다. 김재인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은 인공지능과 4차산업혁명 시대를 읽는 철학의 눈을 제시했다. 인공지능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가 없음을 설명하며, ... ...
- [카드뉴스] 나노 기술이 도전하는 미래로 들어가시겠습니까?2018.07.20
- 기반 질병진단기, 표적지향 나노약물 -한국 기술 수준 : 나노약물 75%, 나노영상 85%, 나노바이오칩 80% 4. 나노 소재 -저전력 초고속 대용량 소재 및 나노융복합 소재 -예 : 사이버그 로봇, 전기차 용 소재 -한국 기술수준 : 나노입자 74%, 저차원소재 80%, 나노복합소재 73% 5. 나노공정 측정장비 -차세대 ... ...
- 휘는 디스플레이에 군용방탄복까지...'꿈의그래핀' 상용화 임박동아사이언스 l2018.07.20
- 현재의 리튬전지 생산공정을 대체할 만큼의 경제성을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분야에 그래핀을 응용하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단백질과 비슷한 크기의 나노물질을 설계해 생체 분자를 조절하려는 시도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그래핀을 이용해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이 ... ...
-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07.19
-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세포 중 가장 진화한 형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5월 28일자에 실렸다. 빛을 사용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 - Nature biotechnology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의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해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할 ... ...
-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07.18
- 한 개 차이까지 구별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5월 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miRNA)는 인간 세포에 2600개 이상 존재하며,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매우 작은 RNA다. 유전정보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암세포의 성장을 막아주는 ... ...
- 유전자가위 오작동 우려?...“크리스퍼는 과대평가됐다” 영국 연구팀 주장동아사이언스 l2018.07.17
- 잘라버려 유전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16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한 것이다. 크리스퍼-캐스9은 문제가 있는 목표 DNA에 찾아가서 달라붙는 ‘가이드 RNA’ 분자인 크리스퍼 단백질과, DNA를 자르는 가위 효소인 캐스9이 짝을 이룬 복합체다. 이를 ... ...
- ‘크리스퍼’ 응용해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변형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7.06
- 방법을 알게 됐다”며 “현재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거의 보유하지 못한 생체 은행(바이오뱅크)에 줄기세포를 구축하게 하고, 각종 신체 조직세포로 분화시켜서 신뢰성 높은 환자맞춤형 조직을 만드는 데 응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뇌-유전자-우주의 비밀...스타 과학자 5人에게 듣는다 '사이언스 바캉스 2018'과학동아 l2018.07.06
- 진행된다. 올해 사이언스 바캉스는 과학책을 주제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등 스타 과학자 5명이 양자역학부터 우주까지 5개 분야 소개에 나선다. 네이버, 네이버문화재단, 한국뇌연구원이 후원하며, 강연은 당일 네이버TV ‘과학동아’ 채널에서 생중계된다. 정 교수는 ... ...
- 어르신 낙상 예방...노인 근육 감소, 혈액으로 조기 진단 동아사이언스 l2018.07.05
- 재활의학과 정선근 교수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생물학 분야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프트 6월 5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동아사이언스 l2018.07.01
- 세계에 보여주기에는 그 편이 더 적합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지 않았다. 한국이 바이오 분야 강국이라는 사실이 영향을 미친 듯, 공교롭게도 두 선정자 모두 유전자가위(김진수 단장)와 마이크로 RNA(김빛내리 단장)라는 생명과학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하다못해 비슷하게 뛰어난 성과를 낸 ... ...
이전427428429430431432433434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