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의 ‘바코드’ 읽어 암세포 천적 면역세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세포 하나하나의 결과가 모여 바코드처럼 보인다. B세포가 암세포를 인식하는 능력과
기능
에 따라 유전정보와 돌연변이 발생 비율 등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마틴 스미스 제공 암세포를 정확하게 공격하는 면역세포를 ‘바코드’를 읽어 추려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암치료에 유용한 면역세포를 ... ...
후천적으로 발생한 뇌 돌연변이가 알츠하이머 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아밀로이드는 신경 세포 사이에, 타우는 신경세포 내부에 형성돼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
기능
을 떨어뜨린다. 뇌에 점진적으로 이런 단백질 침전물들이 축적돼 치매가 일어난다. 하지만 아직까지 단백질 침전물들이 왜 특정 뇌 영역에 나타나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산발성 알츠하이머 ... ...
신체밀착제품에 방사성 물질 못 쓴다... ‘라돈침대방지법’ 시행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제품과 다르더라도 사용방식이 같으면 금지대상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침대와 같은
기능
을 하는 제품인 ‘돌침대’, ‘흙침대’처럼 ‘침대’가 아닌 다른 제품명을 쓴 경우도 침대로 보고 법을 적용한다는 뜻이다. 음이온을 낼 목적으로 방사성 원료물질을 써 제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것도 ... ...
지구물질 순환 비밀 간직한 해양 바이러스 실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6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최근 해양 환경에서 중요한
기능
을 하는 고세균의 군집과 활성을 조절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해양 고세균의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유전자만 발견했을 뿐 고세균의 군집과 활성을 조절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구체적 ... ...
치매 유전자 있어도 치매 막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JAMA)’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치매는 뇌
기능
이 손상되며 기억이나 학습 등의 인지
기능
이 급격히 저하되고 이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장병, 암, 뇌졸중과 함께 세계 4대 사망요인으로 꼽힌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재 전세계 치매 인구를 5000만 명으로 추정하고 ... ...
"기온 1도 오르면 저혈압 환자 1.1%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찾는 이유에 대해 외부 온도에 대한 인체 반응, 예를 들면 피부 혈관 확장이나 혈관 수축
기능
이 노화할수록 활발하지 않아 오히려 평균기온이 높아져도 일정한 혈압을 유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폭염시 저혈압이 아닌 이보다 더 심각한 질환으로 병원을 찾을 가능성도 꼽았다. 홍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일정한 기온과 상대습도가 유지되도록 환경을 제어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기능
성 천연물의 재배법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릉=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 ... ...
안경에 비친 영상 뇌로 전송했더니 시각장애인 시력 일부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요쇼르는 “아직 완벽한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갈 길이 멀다”며 “시각장애인들이
기능
적인 시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정아의 미래병원]블록체인 손잡은 유전자 빅데이터, 해킹논란 잠재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14
것이 아니고, 하나의 질병에 수많은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할 수 있으므로 유전자의
기능
을 밝혀내 발병률을 정확하게 밝히는 일은 쉽지 않다. 유전체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가 실현되려면 무엇보다도 빅데이터 수집이 절실하다. 박종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센터장(생명공학과 교수)은 1 ... ...
[프리미엄리포트] 특수문자·그림에서 시작해 AR로 진화하는 이모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13
를 따서 이모지라고 불렀다. 2000년대 미국 IT 기업 구글과 애플의 기기에 이모지 입력
기능
이 추가되면서 이모지가 전 세계로 퍼지게 됐다. 매년 이모지 종류가 선정되면 각 회사에서 디자인 디자인 최연지.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지금은 비영리기관인 유니코드협회에서 이모지를 만들고 ... ...
이전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