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베르누이 원리를 입증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빨라지고 이 때문에 포물선 운동 경로가 달라집니다.3) 베르누이 원리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
을 설계하려면, 유체의 속력을 변화시킬 때 유체 내부 압력의 변화를 눈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합니다. 압력과 부피 관계를 이용하거나 압력차에 의한 바람의 발생을 이용하면 압력의 변화를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우스꽝스럽게 비친다. ‘어린이과학동아’ 3월 15일자의 ‘섭섭박사의 신나는 과학
실험
실’을 참고할 것!와! 근데 여왕님의 이야기를 들으니 솜사탕이 먹고 싶어졌어요!집 주인이신데 솜사탕 좀 사 주세요!음…, 안 돼! 먹고 싶으면 사 먹어!에이~, 무슨 주인이 이래요? 혹시 가짜 아니에요? …맞다!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등을 이해할 수 있지요. 매년 여름에는 4박 5일간 전세계 중고등학생을 연구소에 초청해
실험
실을 공개하고 과학 원리를 배울 수 있는 캠프도 열고 있답니다 ... ...
사랑받는 음악의 비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이런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될까?미국의 연구팀은 각 음악의 음높이를 숫자로 나타내는
실험
을 했다. 음이 변하면 앞뒤 음높이가 변하기 때문에 앞뒤 숫자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이때 앞뒤 숫자의 차이를 그래프로 그리면 음이 변하는 정도를 쉽게 알 수 있다.그 결과 클래식 음악의 그래프는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아니다. 원래는 식품에 존재하는 감칠맛을 내는 천연 펩타이드를 연구하고 있었는데,
실험
중간에 짠맛에 영향을 주는 결과가 여러 차례 나왔다. 소금이 아닌 물질이 소금처럼 짠맛을 내는 것이었다. 필자는 2005년 미국에서 열린 화학감각 학회에서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발표를 했다. 그때 우연히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과학캠프’로 입소문이 난 3M 사이언스캠프에서는 창의성과 팀워크를 키우는 다양한 과학
실험
과 수준 높은 강의가 펼쳐졌다. 몇 년째 인기를 끌고 있는 ‘책상 위의 로봇공학’시간에는 2명씩 조를 짜서 큰 주사위만한 ‘햄스터 로봇’을 움직여본다. 처음엔 앞뒤로 움직이는 것조차 어려워했던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1982년에는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가 소멸파를 이용한 광학기기를 만들어
실험
으로 증명했다. 폴 박사가 만든 광학기기는 바로 현미경이었다. 렌즈 대신 바늘을 꽂은 셈이다. 빛에 바늘을 가져가면 왜 빛이 빠져나올까. 또 갇혀 있던 빛에는 어떤 정보가 담겨 있을까.근접장에 닿는 순간 ... ...
우주여행, 상상에서 현실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빛의 이중성 두
실험
에서 빛은 파동의 성질과, 입자의 성질을 보여줬다. 하지만 두 개의
실험
에서 파동성과 입자성이 동시에 보이진 않았다. 양자역학의 토대를 세운 덴마크의 보어는 이러한 빛의 성질을 ‘상보성 원리’로 설명했다. 보어의 상보성 원리는 이전의 고전적 개념으로 보면 서로 ... ...
열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자물쇠의 핀을 들어 올리는데도 힘이 적게 드는 빗면의 원리가 사용된 것이다.간단한
실험
을 해보자. ❶ 가로로 긴 직육면체를 대각선 방향으로 잘라 빗면을 만든다. 이 빗면을 핀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핀의 아랫부분에 넣는다.▶ 핀의 높이는 조절되지만 경계선을 일직선으로 맞추기 어렵다 ... ...
우리나라 학생의 뛰어난 등호 이해력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성적이 중위권인 미국 학생 70%를 대상으로
실험
한 결과 미국 학생이 우리나라나 중국 학생에 비해 수학 실력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서로 같다’는 뜻의 수학기호인 등호에 대한 이해력 차이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지난 8월 미국 텍사스 에이앤엠대학교 연구원들이 이 사실을 밝혔습니다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