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발상지인 나일강, 메소포타미아, 북인도, 중국의 황하유역의 연평균기온은약 25℃다. 이
지역
에서 인류가 진화돼 왔다면 체온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체온이 37℃ 전후가 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이러한 주장의진위는 확실히 알수 없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진화 과정 중 ... ...
2천년 전해온 목조건축의 꽃 공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잡종이 드문드문 발견되는 것이 한국의 목조건축이다. 그 형식과 모양이 시대와
지역
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공포는 건축양식에 따른 시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이웃한 중국과 일본에 비해 우리나라 목조건축의 가장 큰 특징은 익공식 공포다. 익공식 공포는 아무리 빨라도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광케이블이 설치돼 광속도로 정보가 전달된다. 그리고 거점이 되는 곳에서 다시 세부
지역
으로 가기 위해서 여러 노선의 버스를 바꿔타듯이 다시 광케이블이 나뉘어 최종적인 지점까지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파장분할다중화 방식은 현재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안으로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나와 있는 몇개의 격전지 중 뻘이 발달하고 조수의 흐름이 빨라 쉽게 묻힐 수 있는
지역
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80년대 초에 인양한 신안 앞 바다의 송·원나라 무역선과 완도 어두리 앞 바다의 고려 초기 화물운반선이 가라앉아 있던 장소는 모두 이런 조건을 갖추고 있다. 남해안에는 기록으로나 ... ...
남극 일부
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않았다.한편 조긴 박사는“나머지 남극
지역
에서는 얼음층이 얇아지기 때문에 로스빙하
지역
의 결과를 남극 전체에 확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남극의 거대 얼음층은 전지구적인 기후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다. 특히 안정된 동부남극보다 서부 남극 얼음층의 움직임이 지난 몇십년 간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다.놀라운 후각능력 덕분에 개는 인간으로부터 특수한 임무를 부여받았다. 산악
지역
에서 사람이 실종됐을 때 가장 믿음직스런 수색자는 개다. 산사태나 지진이 났을 경우 매몰된 사람을 찾는 일도 마찬가지다. 바로 인명구조견이다. 이 외에도 전쟁터에서 적의 존재여부를 조사하는 수색견,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 중간쯤 된다.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의 동북부
지역
은 나무가 많지 않은 황토
지역
이다. 따라서 집 전체를 나무로만 짓기보다는, 집의 주요한 구조체는 나무로 하고 외벽은 벽돌로 쌓는 것이 더 유리했기 때문에 이같은 절충식의 구조가 발전했다. 또한 벽돌로 외벽을 두텁게 하면 화재에도 잘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넣는다. 표면과의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다. 반면에 험한 산악
지역
을 다니는 산악자전거(MTB)와 고도의 묘기를 부리는 트릭 바이크(BMX)는 견고하게 무게를 분산시켜야 하므로 넓고 거칠게 만들어져 있다.속도는 자전거 이용 기술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페달에 연결된 부분인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채플 박사팀은 이들의 DNA서열을 분석해 90% 이상이 고세균 종류임을 확인했다. 보통
지역
에서는 미생물 중 고세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단지 2-3%인 사실에 비하면 무척 놀라운 일이었다.영국의 천문학자이자 우주생물학자인 리차드 테일러 박사는“이들이 태초부터 극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목성의 대기 현상으로 목성의 특정 부분에서 나타난다. 대적반은 적도보다 고위도
지역
인 체계2 부분에 위치해 9시간 55분마다 한번씩 자전한다. 이렇게 자전하는 대적반을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확률은 단순 계산으로도 절반에 불과하다. 즉 지구에서 바라봤을 때 대적반이 목성 표면 중에서 ... ...
이전
43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