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망
소망
염망
예상
예기
기원
소원
d라이브러리
"
기대
"(으)로 총 5,209건 검색되었습니다.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는 생쥐(mouse)를 치료하고 백혈병에 걸린 생쥐의 수명을 두배나 연장시키는 등 매우
기대
되는 물질이다.또한 해양생물에서 추출한 백혈병 치료제 브리오스타틴과 디뎀닌 B도 임상실험이 진행중이고 실용화가 멀지 않았다. 이외에도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EPA DHA 등과 같은 유용물질은 ... ...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예방하도록 한다.운동의 횟수는 1주에 3~5회가 좋다. 주당 1~2회는 심폐기능의 증진을
기대
할 수 없고, 6~7회는 피로를 가중시키고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나 체력수준이 낮은 사람은 운동을 시작한 초기 4~8주는 목표 운동강도보다 조금 낮은 강도에서 시작하고 ... ...
486PC 바람이 분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 잇따른 저가 PC의 발표로 소비자들은 더 싸고 좋은 제품이 쏟아질 것이라는
기대
에 잔뜩 부풀어 있다. 한글 윈도우즈의 보급으로 국내에도 고급 PC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의 수도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한편 PC 주력제품의 빠른 교체로 많은 사용자들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아직 대부분의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러나 이와 더불어 검출기의 발전이 없었다면 입자물리학의 오늘날과 같은 성공은
기대
할 수 없었을 것이다.검출기의 기술에는 크게 두번의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다. 그 첫번째는 1953년 글레이서(Glaser)에 의한 거품상자(bubble chamber)의 개발이며 두번째가 바로 1968년 샤르팍의 검출기 개발이다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000년대는 기존 컴퓨터 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개념의 초고속 병렬처리 광컴퓨터의 등장도
기대
할 수 있다.그러나 원자단위 규모의 양자점이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원자단위를 제어할 수 있는 원자적층기술, 원자단위의 소자구조에서 전자의 운동을 해석할 수 있는 양자물리해석, 이러한 양자소자를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자주 보게 될 것이다. 아울러 사업 교육 통신분야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소니측은
기대
하고 있다.이 '스쿠프맨' 안에는 가로 30㎜, 세로 5㎜, 두께 21.5㎜ 짜리 마이크로카세트가 들어간다. 또 카세트 안에 든 테이프는 소재가 아라미드인데 그 폭은 2.5㎜, 두께는 4.8㎛ 밖에 안된다. 비록 조그닿고 얇은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976년 국내에 공룡의 알 파편화석이 처음 공표된 이후 최근 골편화석과 발자국화석 이빨화석 발톱 및 배설물인 분화석까지 발견돼 한반도에도 중생대 백악기에 공룡이 적 ... 당시 공존생물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앞으로 연구를
기대
해야 한다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만드는 ${CO}_{2}$ 고정화 기술은 유효물질이 부가적으로 생성되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
하는 첨단기술이다.가장 잘 알려진 방법이 메탄올 합성이다. 1980년 미국의 할더 톱소에사는 고압(1백20기압)에서 동-아연 촉매를 사용해 메탄올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해 현재 공업화를 시도 중이며, 최근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존재하지만 이 전자중성미자들이 지구에 도달하는 동안 그 형태가 바뀌기 때문에 우리가
기대
하는 형태로 볼 수 없는 것 뿐이다. 문제는 그렇다면 태양뮤온과 타우온을 찾아내는 탐지기를 개발하는 것이다.만약 과학자들이 이 세가지 형태 사이에서 중성미자들의 변화함을 증명할 수만 있다면 그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정도 먼지폭풍이 일어 난다. 그 원인을 밝히는데 마르스옵서버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된다.1898년에 발표된 H.G. 웰즈의 과학소설 '우주전쟁'에는 화성인이 점점 추워지는 화성을 탈출하여 지구로 쳐들어오는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같은 시기에 로웰일는 사람이 화성표면에서 운하와 같은 ... ...
이전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