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열게 됐지.친구들도 어서 에너지 쇼핑을 하고 싶다고? 그렇다고 굳이 멀리까지 올 필요 없어. 서울 곳곳에 11개의 에너지슈퍼마켙이 들어서 있거든. 온라인 에너지슈퍼마켙도 있단다. e-super.co.kr로 들어와서 에너지를 장바구니에 쏙쏙 담아 봐~!그런데 뭔가 아쉽다고? 그렇다면 ‘마을로 찾아가는 ...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새끼들 외에는 친족이 없어요. 그래서 자기 새끼들만 무사하면 더 이상 경고음을 발성할 필요가 없어요. 이런 차이 때문에 암컷이 수컷보다 경고음을 자주 내고, 훨씬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거랍니다.피는 물보다 진하다!1964년 윌리엄 해밀턴은 이타주의의 진화를 설명하기 위해 ‘혈연선택’이라는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햄버거 패티를 만들 수 있다고 해요. 일반 고기로 패티를 이만큼 만들려면 소 44만 마리가 필요한 데 비해 아주 효율적이죠.하지만 아직은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답니다. 하나의 배양고기 패티를 만드는 데 무려 3억 원 정도가 들거든요.포스트 교수는 “10~20년 안에는 이런 배양고기를 시장에서 ...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위해 꼭 필요하지요.그런데 지금은 입자를 가속하기 위해서 아주 긴 터널과 같은 시설이 필요해요. 실제로 유럽에 있는 가속기는 길이가 약 27km나 돼요. 하지만 펨토초 단위의 강력한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이론적으로는 1km짜리 입자 가속기를 1m 정도로 줄일 수 있을 거라고 해요.빛을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명이 될 거라고 해요. 지구상에 사는 사람 수가 많아지면 사람들이 먹는 음식도 더 많이 필요할 수밖에 없어요. 실제로 2050년이 됐을 때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굶지 않으려면 식량 생산량을 지금보다 두 배로 늘려야 한다는 계산 결과도 있답니다. 미래 식량의 후보 중 첫 번째는 바로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이렇게 먼 거리를 가야 하는 만큼 뉴호라이즌호를 제작하는 데는 정밀한 기술이 필요했어요. 우선 탐사선 무게를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연료로 최대한 멀리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지요. 뉴호라이즌호에는 효율이 높은 수소와 질소로 이루어진 액체 연료 77kg이 실렸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 ...
- 보아뱀이 먹이를 먹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길게는 몇 달까지 먹이를 잡지 않아도 돼요. 우린 대사 작용이 느려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죠.와, 멋지다! 너를 한 번 만나고 싶은데….저는 열대우림에서 반사막지역까지 다양한 지역에 살 수 있어요. 하지만 열대우림, 그 중에서 특히 강이나 하천 근처를 더 좋아한답니다. 제가 ...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시작해요. 그럼 이번엔 밤에 활동하는 포식자인 박쥐를 피하기 위한 또 다른 방어 전략이 필요하지요. 박쥐는 초음파를 쏴서 되돌아오는 소리를 분석해 장애물이나 먹이를 탐지하는데, 이것을 ‘반향 위치 찾기’라고 해요. 이때 박쥐가 사용하는 소리 신호를 ‘초음파 소나’라고 부르지요. 박쥐는 ...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활용할 일이 더욱 많아질 거예요. 그렇게 되면 당연히 기생충을 연구할 사람도 많이 필요하겠죠? 그런데 요즘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연예인, 공무원을 꿈꾸더라고요. 또 지나치게 기생충을 두려워해서 기생충 연구를 하려고 하지 않죠. 하지만 계속 말했듯, 기생충은 활용가치가 높은 생물이에요.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무조건 좋은건 아니에요. 탄성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처음에 늘리는 데 엄청난 힘이 필요하거든요. 그러면 바퀴 축을 돌리는 횟수가 줄어들어서, 결국 초반 속도만 빠를 뿐 이동 거리는 짧아진답니다. 도전자들은 각자가 만든 자동차에 알록달록 고무줄을 감아 엔진을 달아 주었어요. 섭섭박사님처럼 ... ...
이전4314324334344354364374384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