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는 건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모습이 가슴 졸이면서도 감동적입니다. 그런데 감동 이전에 따질 건 따져야 하는
사람
들이 있어요. 그들의 정체는 바로 전 세계 이과생! 스카이스크래퍼도 그들의 레이더망을 벗어날 수 없었어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한 한 트위터 이용자(아이디 @ChristianBedwel)는 포스터에 의문을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하고 싶어서 게임 개발자가 됐다. 게임 개발자 중에는 컴퓨터공학이나 미술 전공을 한
사람
이 많다. 하지만 나처럼 다른 분야를 전공하더라도 게임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듀랑고 세계를 현실과 비슷하게 구현하는 과정에서 전공 지식이 도움이 됐다. 또 자연과학에서는 하나의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스핀을 측정할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정해진다. 어떤 세팅을 선택할지는 실험하는
사람
마음이다. 하지만 만약 누군가 세팅의 순서를 정교하게 디자인하면 국소적 실재성이 만족하는 경우에도 벨 부등식을 위배하게 만들 수 있다.물론 누가 일부러 이렇게 하겠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 우리는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배려와 보호 대상이 되는 개인 또는 집단으로, 정치적·경제적으로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사람
들을 지칭한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의 원인으로는 선입견 및 편견, 차별을 용인하는 사회적 환경 등이 있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차별은 사회적 약자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정의로운 사회 ... ...
[과학뉴스] 음악으로 느껴보는 우주의 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올리자 피아노 음이 울려 퍼졌어요.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이 사진에 소리를 합성한
사람
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터바바라 캠퍼스의 천문학자 그레그 샐베센 박사예요. 그레그 박사는 사진에 나온 천체에 지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음의 피아노 소리를 입혔지요. 그는 우선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왜 혼자 있으면 불안해할까?개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사람
과 함께 살았어요. 그 결과
사람
과 함께 살아갈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동물로 진화했지요. 따라서 가족과 함께 지내다 혼자 남겨진 개는 지루함이나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해요. 심지어 가족과 친밀도가 아주 높은 개는 공포를 느끼기도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작은 물고기의 수가 늘어난 것은 천적인 중간크기의 물고기들이 사라지기 때문이에요.
사람
들의 식탁에 주로 올라오는 중간 어종은 키가 큰 갈조류 숲에 서식해요. 그런데 바다가 산성화되면 다시마 같은 대형 갈조류들은 사라지고 대신 작은 해조류들만 남아요. 이에 따라 중간 어종은 서식지가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m만 남아있지만, 원래 높이는 146.7m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정도만 되도 상당한 높이로,
사람
이 피라미드 앞에 서면 작은 개미처럼 보인다. 사실 아직 초고층건물에 대한 세계 공통 기준은 없다. 보통 높이가 200m 이상이면 초고층건물이라 한다. 국내에서는 건축법(시행령 제2조 15)에 따라 높이 200m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캘리 클락슨은 우스꽝스럽게 커다란 귀마개를 끼고 나왔다. 그 모습에 웃던
사람
들은 수상자가 호명되는 순간 깜짝 놀랐다. 고막을 찌르는 듯한 환호성에 마이크 소리가 들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세계인을 매료시킨 방탄소년단(BTS)의 비밀은 과연 무엇일까. 톱 소셜 아티스트★SNS 투표로 빌보드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평가받는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다. 힐베르트는 칸토어의 놀라운 생각을 많은
사람
이 알길 바라며 집합론을 공리화하기 시작한다.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가 그랬던 것처럼 몇 가지 공리만으로 모든 명제를 증명할 수 있도록 수학 체계를 만들고자 했다. 그런데 무한만 꺼내들면 모순이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