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업체 관계자는 “광개시제는 우레탄이나 에폭시를 다루는 기존 산업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
돼 온 물질로, 당연히 먹어선 안되고 장기적으로 노출됐을 때 피부 등에 유해할 수 있다”며 “경고 문구를 비롯해 물질 정보가 정확히 기록된 MSDS를 구매자에게 제공해 안전에 유의하도록 하고 있다”고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수 없는 결과 같았지만, 여기엔 단순한 이유가 있었다. 컴퓨터가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
하는 자릿수와 계산을 멈췄을 때 출력한 숫자의 자릿수가 달랐다. 당시 로렌츠가 이용한 컴퓨터는 계산을 할 땐 기억공간(메모리)에 저장된 소수점 아래 여섯 자리까지의 수를 이용했지만, 프린터로 출력할 때는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 PFC 유해성에 대한 이 같은 지적에 고어텍스 사는 2013년 7월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가
사용
하는 짧은 사슬 PFC는 유해성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디톡스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하보미 캠페이너는 “짧은 사슬 PFC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면서 긴사슬을 갖는 해로운 PFC인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장점이다. 김 교수가 2014년 개발한 세라믹 연료전지는 프로판(도시가스의 주요 성분)을
사용
해 연료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그의 실험실 한켠에서는 도시가스 관을 끌어다 연료전지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실험이 한창이었다. 김 교수는 “연료전지는 에너지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고효율 ... ...
세뱃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있었어요. 대회가 끝났을 무렵 민트 칩이 자선 기부금과 주차료, 통행료, 식사비 등으로
사용
된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캐나다 정부는 이런 실험을 통해 디지털 화폐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알아본 거예요.앞으로 돈은 어떻게 바뀔까요? 사실 정답은 아직 누구도 몰라요. 비트코인과 같은 민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위치와 비밀번호를 사물함
사용
자의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전송해 준답니다. 덕분에
사용
자는 사물함의 위치와 비밀번호를 일일이 외우고 다닐 필요가 없어졌지요.[센서를 컴퓨터에 연결해 만든 컨트롤러로 게임을 즐기는 모습. ... ...
부르르르~, 자석으로 켜는 진동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닫히는 것을 감지하거나 자동판매기에 물건의 남은 양을 감지하는 등 다양한 센서에
사용
되고 있어요. 자석을 가까이 해서 리드스위치가 켜지면 진동 모터가 부르르르~ 진동을 만들어 내요. 사진 속 진동 모터의 끝부분을 자세히 보세요. 반원 모양의 회전자가 보이나요? 진동 모터에는 이렇게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이용한 암호다. 60자리 소수 두 개를 곱해 암호를 만들고, 소수를 암호를 푸는 열쇠로
사용
한다.그런데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이런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소리가 된다. 그래서 몇몇 수학자들은 리만 가설이 해결되면 획기적인 소인수분해법도 개발되리라고 보고 있다. 한편에서는 이것이 전혀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않는다.
사용
자의 운동 패턴과 습관을 분석한다. 그리고 마치 게임처럼 스마트짐을
사용
하는 모든 사람의 데이터로 순위를 매긴다. 혼자 운동해도 친구와 함께하는 것처럼 운동을 즐겁게 할 수 있다. 김 과장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같이 개발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결과”라고 말했다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그 원인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자가 여자보다 해마 부위를 더 많이
사용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노르웨이과학기술대 뇌신경과학과 카를 핀츠카 연구원팀은 남자와 여자 각각 18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가상현실 길찾기 게임을 시켰다. 총 45개의 미로를 30초씩 미리 보여준 뒤,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