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도달하면 통증을 줄이거나 기분을 좋게 하는 호르몬이 분비되고, 면역세포가 활발히
활동
해 감기 같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진다. 오르가슴 중에 분비되는 옥시토신 같은 호르몬이 유방암을 막아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나이가 들어서도 지속적인 성생활을 하면 호르몬 분비가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소장으로
활동
하며 그런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다. 좀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을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의 한 영역으로, 그리고 문화의 한 영역으로 생각하며 과학을 좋아하고 즐겼으면 좋겠다는 것이 그의 바람이다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박사학위를 받은 유상진 박사(34)는 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연구원으로 현재
활동
하고 있다.한국주변해역의 해저케이블 앞으로 서울대 해양연구소는 연구가 진행중인 대한해협 해저케이블과 7월에 시작할 HJK케이블 이외의 한반도 주변에 설치된 여러 해저케이블의 활용을 꿈꾸고 있다. 현재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활성화되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도피질, 전두엽, 기저핵이 활성화된 반면 편도체의
활동
은 줄어들었다. 즉 활성화된 부위는 여전히 로맨틱한 사랑을 연구한 바르텔스 연구팀의 결과와 흡사했다. 그렇다면 인간의 사랑 행위는 마약과도 같은 것인가?환희에 찬 순간 인간 뇌의 작용은 어쩌면 모두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독특한 어깨뼈 관절과 강인한 손목 그리고 짧은 등과 꼬리의 진화가 새를 조금씩 강하고
활동
적으로 날아다니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미 코네티컷대 조류진화학과 알랜 브러시 교수도 “십중팔구 깃털이 골격보다 더 빨리 진화했을 것”이라며 이들의 주장에 동의했다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해양 생태계의 조성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사람들로 인한 오염도 한몫 한편 사람들의
활동
으로 인한 오염도 독도 연안 갯녹음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원래 독도 연안은 경사가 가파른 암반이 해수면에 연결돼 있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리적 환경이다. 그러나 최근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천식에 효과가 좋은 성분을 발견했다. 이 박사는 자생식물 이용기술 개발사업단에서도
활동
하고 있다. 그는 목련과 천식 사이의 관련성을 어떻게 알아냈을까.신이가 알레르기성 비염에 좋다는 사실을 접한 이 박사는 천식의 경우 70% 정도가 알레르기성이라는 점에 착안해 신이가 알레르기성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추측했다. 쥐와 새 수컷의 뇌 시상하부에서 테스토스테론이 에스트로겐으로 바뀌어 성적
활동
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산화질소성적 흥분시 생식기 세포에서 분비. 혈관을 팽창시키고 혈액의 흐름을 증가시킨다. 비아그라나 레비트라 같은 약물은 인공적으로 산화질소 분비를 촉진한다.장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소리 없이 공격해 잡아먹는다.올빼미는 밤에만 먹이를 잡아먹지만, 반대로 낮에만
활동
하면서 들쥐와 새를 잡아먹는 새들이 있다. 바로 무서운 맹금류인 황조롱이와 말똥가리가 그들이다. 만약 이들이 낮에 들쥐 한 마리를 놓고 서로 잡아먹기 위해 오랫동안 싸워왔다면 틀림없이 한 종은 도태됐을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대해 대체로 심장과 혈관운동의 동시 조절로 그 변화를 줄이려고 하는데 이 때 가장 많이
활동
하는 것은 감압신경이라는 대동맥신경과 헤링 (Hering)이 발견한 경동맥동신경음 통한 감압반사이다고체와 유체 사이에 온도차가 있으면 둘 사이에서 전도 및 대류(對流)에 의한 열교환이 일어난다 뇌의 ... ...
이전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