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06
적응이 없었다면 인류는 지금까지도 열대에서 원시생활을 하고 있었을지 모를 일이다.
지구
역사를 보면 인류문명이 시작되고 거대한 동물이 멸종된 간빙기는 언젠가 끝나고 빙기가 다시 찾아올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간빙기는 이미 1만년이 지났기 때문에 과거의 간빙기가 8천년-1만2천년 동안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그만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장소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
와 비슷한 환경의 외계행성이 있다면 이들 속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생명이 발생하고 진화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찾아내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06
만들어진다고 본다.그런데 최근 일본 열도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일본이 설치한
지구
위치정보시스템(GPS) 최근 자료에 따르면 일본 열도는 해마다 서쪽 즉 한국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원래 일본은 3-4천만년 전까지 한국 남동부에 붙어 있다가 떨어져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지질학계의 한 ... ...
초여름 밤하늘은 구상성단 풍년
과학동아
l
199906
보름달 크기만큼 이동하는 가장 큰 고유운동을 보여준다. 켄타우루스자리 알파별에 이어
지구
에서 2번째로 가까운 별로 5.95광년 떨어져있다.또 지금은 ‘케플러 별’로 알려진 초신성이 1604년 10월 9일에 땅꾼자리 테타(θ)별 부근에서 폭발했다. 당시 조선의 관상감학자들이 초신성 주위에 있던 화성, ... ...
깨끗한 물은 어떻게 만들까?
과학동아
l
199906
않았던 옛날에는 그런 자연적인 방법으로 깨끗한 물을 충분히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지구
상의 인구가 늘어나고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물의 자연 정화능력은 한계에 부딪혔다. 따라서 이제는 화학적 원리를 이용한 인공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댜양한 능력 갖춘 재능꾼우리 ... ...
달 기지는 어디에 지을까
과학동아
l
199906
기지를 세운다면 남극 부근이 가장 적합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
지구
물리 연구회보’ 최신호에서 벤 제이 부시 박사는 달 기지의 최적지로 남극 근처의 세 지역을 선정했다. 세 지역의 공통점은 햇빛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과 이 지역 근처에 얼음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 ...
화성에도 지각변동 있었다
과학동아
l
199906
새로 형성된 대양판이 중앙해령에서부터 천천히 뿜어져 나오는데, 그 과정에서 종종
지구
자기장의 역전현상이 일어난다.과학자들은 현재의 화성이 지각변동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자기대는 아주 오래 전 화성이 활동적이었던 시기에 형성됐다고 보고 있다. 이 시기 차가운 지각 아래 녹아있던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06
해왕성 바깥 30AU-1백AU 사이에 있는 납작한 카이퍼벨트 내에 많이 분포한다.(1AU는
지구
와 태양 사이의 거리로 약 1억5천만km. 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라고 부름)(h) 혜성들은 황도면 뿐만 아니라 여러 방향에 존재하는 3차원적 공간 분포를 하며 약 10만 AU까지 퍼져 있다. 이들 혜성들의 반 정도는 약 3천- .. ...
Ⅱ. 풀밭에서 바늘 찾는 외계행성 탐색
과학동아
l
199906
오만한 생각이었는가를 새삼 느낄 수 있다. 앞으로 무수한 행성계들이 발견될 것이고
지구
와 같이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행성도 곧 발견될 것이다. 그 별의 나이도 대충 계산돼 그 행성표면에서의 생물의 진화가 어느 정도 될 것인지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비교적 가까운 곳(1백광년 이내)에서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06
되므로 인간의 눈으로 블랙홀을 찾아낸다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만일
지구
근처에 블랙홀이 있다면 강한 중력의 영향을 감지해 그 존재를 파악할 수도 있겠지만 먼 우주에 있어 희미해진 중력을 포착하기란 쉽지 않다. 결국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블랙홀에서는 아무 것도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