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HDFT)이 찍었다. 30등급이나 되는 어두운 은하를 촬영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20
세기
최고의 관측 기술이 제공하는 가장 깊숙한 우주를 지금 보고 있는 것이다. 은하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균질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우주에서 볼 수 있는 평범한 표본에 지나지 않는다.은하의 색깔을 보면 ... ...
21
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불을 끄고 방을 비우면 인형들이 살아나 움직이리라." 어린 시절 누구나 한 번쯤 해봄직한 상상이다. '토이스토리'(Toy story)는 아이들이 없는 빈 방에서 일어나는 장난감들의 세계와 그들의 질투 우정 좌절 그리고 희망을 그린 영화다.앤디의 생일날 새로운 장난감인 우주전사 버즈가 선물로 들어오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 간섭무늬를 측정하면 거대한 망원경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NASA는 이를 위해 21
세기
초에 간단한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것은 지름 30-60cm인 망원경으로 구성되며,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해왕성 크기의 행성을 찍을 수 있다. 또 NASA는 2010년경 '행성탐색기'(planet finder)를 띄울 계획이다.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확보와 환경오염 방지는 21
세기
를 맞이하는 인류에게 가장 큰 난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계면공학 측면에서는 어떤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는 것일까.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인간이 창조되기 전에 지상에 거주하고 있던 신들이었으며 형제였다.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정열을 바쳤기 때문이다.욕조에서 얻은 아이디어모스가 1837년 전신기를 발명한 이래 19
세기
후반 미국 사회에서 전신 시설은 급격히 늘어났다. 특히 남북전쟁을 거치면서 전신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1865년 5만마일에 불과했던 전신선이 5년 후 5배로 급증했다. 그러나 초기의 전신 시설은 하나의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같은 특수한 설계가 필요하다. 아직까지 자율형 무인탐사로봇이 이룬 성과들은 적지만 21
세기
에는 심해저 탐사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선진국 등에서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미국은 1959년 북극해 해저 탐사를 위해 연구를 시작해 1967년 SPURV-1를 개발했다. 현재 미국은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고속망을 대한해협까지 깔아놓을 테니 이를 받아줄 것을 우리에게 요청했다. 마치 19
세기
말 식민지 쟁탈전에 나선 열강들이 앞다투어 철도부터 깔려고 했던 상황을 떠올리게 하는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다.이같은 열강들의 구도에 맞서 우리나라에서도 미국, 유럽과 직접 연결되는 고속망을 깔고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중력파는 전자기파와 달리 워낙
세기
가 약해서 검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실제 중력파의
세기
는 전자기파의 10의 수십제곱분의 1정도로 약하다.미국의 테일러와 헐스는 1974년 보이지 않는 동반성과 쌍성을 이루고 있는 펄사(pulsar, 강한전파를 내는 중성자별)를 관측했다. 이 두 별은 불과 해의 반지름 ... ...
CD플레이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떠오른 CD. 이 호기심 어린 물건은 어떻게 움직이는 것일까.20
세기
문명의 끝에 서 있는 요즘, 실로 눈부시게 발전한 테크놀러지의 변화는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서 눈으로 확인된다. 집집마다 놓인 멀티미디어 PC, 터치스크린으로 운영되는 거리 곳곳의 무인 안내기, 또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병리학적 현상을 포함하는 복합학문"이라고 정의한다. 이 분야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19
세기
미국 대학 운동선수들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시작됐다.이주립교수는 "스포츠의학이 올림픽과 함께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고대 스포츠를 살펴보면 선수의 경기력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코치 ... ...
이전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