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65~72˚ 사이에서 관측할 수 있다.]다만 미국 뉴욕을 왕복할 때 받는 방사선량이 가슴 X선 사진을 찍을 때 받는 방사선의 2~3배이니 아주 적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른 연구에 의하면 북위 60도 이상의 항로 즉 북태평양 항로나 캄차크 항로로 가든, 북극항로를 가든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다고 한다. ... ...
- 태양은 완벽에 가까운 ‘구’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때문에, 자기장 촬영장비를 이용하면 매우 정확한 태양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촬영한 사진에서 태양을 지름이 1m인 공 크기로 축소해 비교하자, 동·서 방향으로 측정한 지름과 남·북 방향으로 측정한 지름의 차이가 겨우 1700만 분의 1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람의 머리카락 한 개의 지름도 ... ...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을까?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더운 여름이 지나고 풍성한 수확의 계절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벌써부터 마트에선 올해 재배한 사과와 배를 싸게 팔기 시작했다. 사과를 좋아하는 경제는 마트에서 사과를 잔뜩 사서 먹기 시작했다. 1년 내내 기다린 제철 사과가 아닌가! 하지만 한 개, 두 개를 먹을 땐 맛있던 사과가 세 개, 네 개 ... ...
- 워프~! 마사이족의 손가락셈 탐험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1, 2, 3, ….”다 같은 숫자라고 모두 똑같이 센다고 생각하지 말자. ‘1’ 하면 마사이족은 검지부터, 프랑스 사람은 엄지부터 펼치지만, 우리나라 사람은 엄지부터 접으니까. 국가마다, 문화마다 다른 손가락셈의 비밀을 워프에 휘말린 마사이족 삼형제와 함께 파헤쳐 보자. 황당하고도 기묘한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년 09호
- 1,000,000,000,000. 일, 십, 백, 천, 만,……, 억, 십억, 백억, 천억, 만 억, 십만 억, 천만 억. 무려 천만 억. 정말 큰 수인걸!누구를 바보로 알아요? 세상에 십만 억, 백만 억, 천만 억이라는 말이 어디 있어요? 이건 1조예요. 산학연구가라더니 나보다도 몰라. 누구 말이 맞는지, 우리 내기할래요? ‘설마 조 ... ...
- [정보] 통계, ‘왜?’라고 물으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선생님, 통계가 너무 어려워요!표를 가득 메운 숫자들과 넘쳐나는 그래프 덕분에 통계가 어렵게 느껴지나요? 물론 학생들은 평소 교과서나 문제집에서 다양한 통계자료를 만납니다. 하지만 시험 문제에서는 종종 처음 보는 통계자료가 등장하기도 하죠. 이런 새로운 통계자료가 시험에 나왔을 때, ... ...
- 몸집 줄여도 성능은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빛이 곧바로 이미지센서에 전달돼 LCD 화면을 통해 라이브뷰로 보인다. 라이브뷰는 사진에 기록되기 전의 이미지를 그대로 실시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렌즈가 본 화상을 그대로 LCD화면에서 보는 것이다. 라이브뷰 상태에서 셔터를 누르면 셔터막 동작 이후 이미지센서에 곧바로 ...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선캠브리아기의 대표적인 화석인 스트로마톨라이트(위 사진)는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남세균 화석이다. 약 35억 년 전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당시 바다 속에서 생성된 것이라 생각된다. 남세균은 앞서 말한 것처럼 광합성을 할 수 있다.지구 최초의 ...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결국 생명체를 유지했을 과거 화성 환경의 지표가 되는 광물 단서를 새로 찾은 셈이다. 사진과 결빙 흔적, 적철석만으로 유추했던 물의 존재를 알리는 단서가 새롭게 밝혀지는 걸까.탐사 시작한 지 며칠만의 쾌거다. “화성에 물이 있었어요! 지질학적 단서가 새로 나왔어요!” 나 혼자 외치기에는 ...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김종암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의 대답이다. 여러 각도에서 찍은 더 배트의 사진을 본 김 교수는 이 비행체가 개념적으로 충분히 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하지만 김 교수의 대답이 처음부터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첫 눈에 보이는 더 배트의 엔진은 기체 앞쪽의 덕티드팬 엔진 2개가 ... ...
이전4344354364374384394404414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