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같이 잃어야 행복해하는 사람일수록(질투가 큰 사람) 덜 이타적이라는 것이다. 아르쉬 데 베르커 UCL 연구원은 “경제학자들은 지금까지 사람마다 이타심이 다른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며 “이번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13일자에 ...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하는 과정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은 최근 냉방병원인균(Legionella pneumophila )에서 기존에 알려진 적이 없는 새로운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감싼 도넛 모양의 먼지구름에 가려진다. 제트와 함께 기체 구름이 뿜어져 나오는데, 여기에서 나오는 폭이 좁은 방출선만 관측된다.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서로 다르게 보이는 AGN을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아름다운 모델”이라고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없고, 어떻게 위반됐는지 구체적인 수치가 신호로 잡혀야 새로운 중력이론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박사는 “위성실험은 여러 등가원리 실험 중 하나일 뿐”이라며 “끈이론, 고리양자중력 이론 등 중력을 설명하는 이론이 다양한 만큼 등가원리 실험 자체도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전에 도입된 것이다. 또 연구팀은 하나의 새로운 박테리아 DNA 그룹을 발견했는데,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가 들어오기 이전에 세포에 들어와 골지체와 소포체 등 세포 내막의 형성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토콘드리아와 관련된 에너지 생성 유전자는 진핵세포의 외부 유전자 중 가장 늦게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최근 3D 프린터로 ‘토르(THOR)’라는 소형비행기를 제작하고 시험비행하는 데 성공했는데, 행사장 한쪽에서 직접 볼 수 있었다. 손으로 토르를 직접 두드리자 몸체가 흔들릴 정도로 작고 가벼웠다.에어버스 3D 프린팅 개발 총괄 책임자인 피터 샌더는 “토르는 알루미늄과 티타늄, 스테인리스강 등을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섯 가지를 추려냈고, 이를 바탕으로 식을 만들었다. 여기에 실험 데이터와 누적된 관측 데이터를 더해 각 지질 종류별로 산사태가 얼마나 발생할지 확률을 정교하게 계산하는 식을 만들 계획이다. 채 센터장은 “우선 강우량으로 광역 경보 또는 주의보를 발령한 뒤, 지형과 지질 특성을 고려해서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귀여운 판다나 멋진 갈기를 가진 사자 같은 동물은 사람들의 관심을 듬뿍 받는다. 그러나 모든 존재가 인간의 사랑을 받는 건 아니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사는 영 ... 경이로운 진화의 결과다. 생명체들이 수천만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하고 살아남아 있는 데에는 분명 비결이 있다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4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박테리아 67종을 찾아냈는데, 이들 중 대다수는 얼음이 어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INA, Ice Nucleation Active protein) 유전자를 가진 슈도모나스 속의 박테리아였다.INA는 그람음성균, 예컨대 슈도모나스 속, 산토모나스 속의 박테리아 외막에 붙어있는 단백질로, 영하 5°C에서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살아가는 세균이 발견됐습니다. 그 중에는 강한 방사능을 견딜 수 있는 세균도 있습니다.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가 대표적입니다. 스스로 DNA 조각을 연결시켜 생체를 복구시킬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방사능 물질이 있는 곳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우주는 지구와는 비교도 안될 ... ...
이전4354364374384394404414424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