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암과 강이 빚은 장관, 그랜드캐니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암석으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런데 미국 뉴멕시코대학교의 라이언 크로우
박사
팀은 최근 그랜드캐니언이 72만 5000년보다 젊은 지층이며, 4번 이상의 용암분출과 홍수, 퇴적작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만들어졌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이번 연구에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일정한 ... ...
투명 물고기“캐스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름은 유명한 애니메이션 주인공 이름을 따 ‘캐스퍼’라고 지었지요.화이트
박사
는 캐스퍼의 몸에 암세포를 넣어 퍼져 나가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투명한 몸 덕분에 암세포의 전이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었어요. 앞으로 암연구에 도움이 될 캐 스퍼의 활약이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 ...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 방향 찾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90%는 지중해가 있는 남쪽으로 바람이 불 때를 골라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채프먼
박사
는 “이번 관찰 결과는 곤충이 자신이 날아가야 할 방향을 이미 알고 있다는 뜻”이라며 “곤충에게 선천적으로 나침반과 같은 방향감각이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 ...
하루 길이를 바꾸는 광물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엄청난 전기전도성 때문에 지구의 자전 속도가 달라지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히로세
박사
는 “이 층은 액체상태의 외핵이 만드는 자기장과 함께 엄청난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며 “이 전자기적인 힘은 자전 속도에 영향을 줘 1000분의 1초 범위에서 하루의 길이를 변화시킬 만큼 ...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돌리다가 발끝을 축으로 몸을 충분히 회전시켜 최대의 힘을 원반에 실어 던진다. 이
박사
는 “조각상의 주인공은 어떤 단계의 동작이라고 말하기 힘들다”며 “어느 동작에서든 허리를 거의 편 상태여야 허리 회전에 따른 힘을 원반에 충분히 실어 멀리 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영국 미술사학자 ... ...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여성우주인의 ‘역사속 전설’이라면 윗슨은 ‘살아있는 전설’이다. 생화학
박사
인 윗슨은 2002년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에 첫발을 내디딘 뒤 지금까지 5번 우주비행을 하며 많은 기록을 세웠다. ISS 최초 여성 선장을 비롯해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여성우주인 기록(376일)과 가장 오래 우주유영을 ... ...
2. 세계는 지금 합성석유 삼매경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50억 톤가량의 석탄이 매장돼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약 200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이죠.”정
박사
는 앞으로 벌어질 수도 있는 석유대란을 대비해 우리나라가 유지될 수 있는 최소한의 석유를 확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석탄석유화라고 강조했다. 2차 세계대전의 독일이나 과거 남아공의 사례가 이를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의심스럽다.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그는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양자전자공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IBM 슨연구소에 재직하다 1996년 서울시립대 교수로 부임했다. 소설의 소재였던 양자컴퓨터가 사실 그의 연구대상이다.안 교수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양자정보처리연구단’을 10년간 ... ...
지상을 박차고 우주로 비상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우주를 비행할 수 있는 것은 로켓뿐이죠.”로켓을 처음 접한 신입생들도 금세 로켓
박사
가 될 수 있는 까닭은 바로 선배의 자상한 강의 덕분이다. 선배 때부터 전해온 로켓 지식은 동아리 홈페이지(http://mercury.kau.ac.kr/srs)에 보물처럼 정리돼있다. 게다가 항공특성화대학이라는 성격상 비행역학이나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결정 표면에만 색소가 붙어있을 경우 마야블루처럼 선명한 색이 나오기 어렵다.키아리
박사
는 “팔리고스카이트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10~100nm(나노미터, 1nm=${10}^{-9}$m) 크기의 작은 섬유 같은 침상결정이 보인다”며 “그 결과 색소가 결합할 표면적이 크게 늘어나 선명한 쪽빛이 나오게 된 ... ...
이전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