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근원
밑바탕
뿌리
기본
원천
근거
d라이브러리
"
근본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엄청난 성공을 일군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그런데 이 기업들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
근본
적인이유가 왜 하필이면 디자인일까. 애플컴퓨터에서 산업디자인 관리자였던 로버트 브루너와 기업문화 컨설턴트인 스튜어트 에머리는 공동 저서(Do You Matter? How Great Design Will Make People Love Your Company)에서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베낀다면, 아무리 그럴듯해도 입학사정관의 질문에 답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근본
적으로 남의 생각을 자기 것으로 사용하는 일은 범죄행위라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책을 읽으며 배우고 느낀 점을 솔직하게 글로 정리하는 연습을 하다 보면 독후감은 그리 어렵지 않은 글이다. 틀에 박힌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자신이 만든 전자기장 이론을 이용해 전기와 자기, 빛처럼 전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
근본
적으로 같은 현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는 자신의 저서 ‘전기와 자기에 대한 저작집(전자기학)’에 물리학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된 자신의 생각이 수학적으로 어떻게 유도되는지, 식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일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생명정보학 연구자보다 많은 수다.생명정보학은
근본
적으로 생명을 정보처리 현상으로 이해한다. 따라서 게놈도 생명정보학에서는 정보의 덩어리에 불과하다. 단지 그 정보의 덩어리가 자체의 법칙을 따르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잡한 대상이라는 점이 특이할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등 제각각이다.‘지식의 길을 묻다’ 3회에서는 ‘인류의 미래에너지는 무엇일까’라는
근본
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해본다. 석유의 시대는 과연 종말을 맞이한 것인지,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는 어떤 조건을 갖춰야 할지, 현재 거론되는 신재생에너지들의 성공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큰 장벽인 셈이다.그런데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전달매개체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의
근본
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성공했다. 1990년대 중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병홍 박사팀은 철이나 망간 같은 금속의 산화물을 환원시키면서 생장할 수 있는 금속염환원세균을 미생물연료전지의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초기 우주를 관측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했다. 하지만 빛으로 볼 수 있는 우주의 시간은
근본
적인 한계가 있다. 빅뱅 직후 약 40만 년 이내에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은 초기 우주에서는 빛이 다른 입자와 충돌해 빠져나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안개가 자욱한 날에는 멀리서 불빛을 제대로 볼 수 없는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경우에는 쉬어야 한다. 심리적으로 긴장했거나 스트레스가 쌓인 탓이라면 마음속에 있는
근본
적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변 원장은 “척추측만증으로 내원하는 환자 대부분이 청소년”이라며 “학업도 중요하지만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적절한 운동이나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공헌은 처음으로 세상을 이루는
근본
물질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탈레스는 우주의
근본
물질이 물이며, 모든 물질이 물로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지구도 물 위에 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지진도 물 위에 뜬 지구가 흔들리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밤에 별을 보며 걷다가 우물에 빠져 하녀에게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 아무튼 이 문제는 생명의 기원과도 관련된
근본
적인 미스터리다.여담이지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라는 오리지널 수수께끼는 이미 풀린 지 오래다. 달걀(알)이 닭(새)보다 먼저가 정답이다. 새의 조상인 공룡도 알을 낳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