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보]역동의 순간, 인간의 도전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위험과 극한을 추구하는 익스트림 스포츠만큼 인간의 도전이 빛나는 순간도 없다. 국제 익스트림 스포츠 사진 공모전, 레드불 일룸이 이번에도 그 순간을 모았다. 2023년 11월, 총 10개의 부문에서 우승작이 발표됐다. 그 중 일부를 소개한다.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2023년 12월 4일, 프랑스의 생명공학 스타트업 ‘바이오메모리’가 데이터를 DNA 형태로 저장하는 ‘DNA 카드’를 출시했다. DNA 카드는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 중간에 DNA가 저장된 버튼이 달린 구조다. 총 1KB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가격은 1000달러, 한국 돈으로 약 130만 원 정도다. 어떻게 DNA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처리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범용 AI 로봇 개발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의미다. 구글이 2022년 발표한 대규모 언어모델 탑재 로봇 ‘PaLM SayCan(팜-세이캔)’ 모델이 좋은 예다. doi: 10.48550/arXiv.2204.01691 팜-세이캔 모델은 자연어로 도움을 청하면 스스로 목표를 찾고, 목표를 수행과 관련된 여러 행동 중 ...
- [미술] 필자미상 해룡도, 조선 후기....청룡, 걱정 없이 노닐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두 마리용이 여의주를 갖고 놀고 있다. 황룡의 발 아래 출렁이는 파도가 그림의 역동성을 강조한다. 이 그림이 그려진 19세기 조선에서 쌍룡이 여의주를 갖고 노는 그림은 왕실의 상징물에 주로 활용됐다. 교룡기나 경복궁 근정전어좌위천장등이 그 예다. 왕의 위엄을 나타내듯이 그림이 붙은 족자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꾸준히 언급돼 왔습니다. 2021년에는 서울대, 건국대 등 공동연구팀이 새끼 비글 10마리의 코를 매달 촬영한 결과, 생후 2개월이 되면 코 패턴이 완성되고 이후 변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애니멀스’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390/ani11092664 연구팀은 “개의 비문이 각각의 개에 대한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석의 왕이라 불리는 다이아몬드. 그 속에는 멀게는 수십 억 년 전부터 가깝게는 수 억 년 전에 있었던 초대륙의 움직임이 단단하게 박혀있습니다. 땅속 깊이 끌려 들어갔다가, 찢어지는 대륙과 함께 이동하고, 다시 지표면 근처까지 솟아오른 다이아몬드를 따라 초대륙 여행을 함께해 봅시다. 초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삼엽충 연구를 마음껏 하고 싶은 김공룡 박사에게 시련의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열심히 지원서와 제안서를 써냈지만, 계속해서 연구과제 선정에 탈락한다. 반면 원하는 과제를 수주하는 데 성공한 건너편 연구실은 축제 분위기. 침울한 김공룡 박사에게 ‘어쩔 수 없다’는 친구의 위로 아닌 위로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마 과학동아 독자분들이라면 기사를 읽으면서 한번은 보셨을 겁니다. 이 작은 글씨는 각 문장에서 소개하고 있는 논문의 ‘DOI’입니다. DOI를 이용하면 인터넷에서 쉽게 논문 원문을 찾아 읽어볼 수 있죠. DOI가 뭐길래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할까요?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디지털 객체 식별번호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자에게 가장 섹시한 수를 꼽으라 하면 단연 섹시 소수를 그 예로 들 것이다. 섹시 소수는 5와 11처럼 차이가 6씩 나는 ‘소수쌍’을 말한다. 대체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라틴어에서는 6을 ‘섹스(sex)’라고 한다. 수학자는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어 한 번 들으면 절대로 까먹지 않고, 사람의 흥 ... ...
- 운명의 상대 만날 확률은? 배커스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운명의 상대를 만날 확률도 계산해본 경제학자가 있다. 2010년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경제학 강사로 일하던 피터 배커스는 3년 동안 여자친구가 생기지 않자, 진정한 짝을 찾을 확률이 얼마인지 ‘드레이크 방정식’을 이용해 따져보고 ‘나는 왜 여자친구가 없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