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테이지
배경
장소
공연장
영역
범위
스태이지
d라이브러리
"
무대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미국 영화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예상대로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의 독
무대
였다. 작품상과 감독상 등 후보에 오른 11개 부문 중 한 부문도 놓치지 않고 모두 수상하는 기염을 토한 것. 그런데 보름 전 또다른 아카데미 시상식이 거행됐다. 바로 아카데미 과학기술상이다. ... ...
동물은 웰빙, 관람객은 흥미 진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통해 호랑이가 우리 산속에서 사라져간 원인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된다.구미호
무대
나타나 호랑이나 반달곰처럼 자연서식지에서 멸종된 중요 동물들의 경우에는 전시장과 별도로 전용 번식장을 갖게 된다. 종을 보전하고 복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번식장은 관람객과는 철저히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 아주머니 옆자리에는 초등학생인 아들 2명이 호기심 가득한 눈을 시종일관
무대
에서 떼지 못하고 앉아있다.지난 3월 20일 오후 1시경. 서울대 문화관 대강당에는 부모님 손을 꼭 잡은 어린이, 교복을 차려 입은 중·고등학생, 넥타이를 맨 회사원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국내 여러 뇌과학자들이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숨쉬는 생명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스스로 개발한 독특한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갯벌을
무대
로 살아가는 생물과 사람들의 삶을 고루 엮어 쓴 ‘갯벌 이야기’는 그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책이다. 이렇게 현장에서 연구한 그의 장점이 발휘된 결과물 중에는 2003년 방영된 MBC 자연다큐멘터리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가가린이 최초로 로켓을 타고 지구 궤도를 도는데 성공했다. 이후 기구는 우주경쟁의
무대
에서 뒷전으로 밀려나고 말았던 것이다.억만장자의 단독 세계일주 이후 최고고도기록의 달성이 정체돼 있는 것과 달리 장거리 기구비행의 시도는 꾸준히 이어져 최근까지도 신기록이 나왔다. 가장 최근에는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시민 행사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면서 미래의 거리는 일상과 공공이 만나는
무대
로 변모할 것이다. 미래로 가는 디지털 주작대로 DMS는 인간중심의 도시환경과 첨단 기술, 그리고 참신한 아이디어가 결합한 공간으로 우리 앞에 나설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조용한 일상의 디지털 ... ...
인간 닮은 로봇 총출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향연은 또하나의 볼거리. 이와함께 아이보들이 발랄한 음악에 맞춰 펼치는 에어로빅
무대
는 한순간에 전시장을 압도한다. 이와 함께 얼굴을 그려주는 화가로봇, 탁구로봇, 축구로봇 등도 어린 관람객의 시선을 잡아끈다.2층에 설치된 테마관은 남녀노소 할것 없이 인기다. ‘메트로폴리스’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중력에 의해 주위의 시공이 뒤틀리고 휘어진다. 일반상대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시공간은
무대
가 아니라 배우처럼 역동적인 존재인 것이다.하지만 시간과 공간은 크게 다른 점이 있다. 공간에서는 앞뒤 상하 좌우 3방향 어디로나 갈 수 있지만 시간은 한방향으로만 이동한다. 시간축은 불완전한 축인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새로운 조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생명의 역사에서 절반 이상은 박테리아의 독
무대
였습니다. 화석기록으로 보존될 수 있었던 형태들만 고려한다면 박테리아는 최소 복잡성의 왼쪽 벽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생명은 박테리아 형태로 시작됐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 ...
비행기 1백년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제트여객기가 취항됐다. 그러나 동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연이은 추락으로 역사의
무대
에서 퇴장할 수밖에 없었다.프로펠러 여객기로 세계 여객기 시장을 독점했던 미국은 영국의 주도적인 제트여객기 도입에 잠시 주춤했다. 하지만 다시 보잉사와 더글러스사를 중심으로 제트여객기 개발에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