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비
방위
보호
방비
옹호
비호
엄호
d라이브러리
"
방어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죽어가는 고분자를 보호하는 샤페론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 식물의 이런 생체
방어
기전을 응용하면 가뭄이나 냉해 등 환경스트레스를 견디는 식물을 개발할 수 있다.곽 박사는 “한 가지 유전자로 여러 종류의 환경스트레스에 견디는 식물을 만들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경상대 윤대진 교수는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번식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 곤충을 빨리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포자는 곤충 내부의
방어
망을 쉽게 피할 수 있다. 포자에서 다시 곰팡이가 자라나고 이 곰팡이가 곤충 내부의 구조물을 공격하고 분해해 결국 곤충이 죽게 된다. 대부분의 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이런 공격 기술을 이용한다.곤충을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없다. 그런데 식물화합물을 지닌 식물은 미생물, 해충, 동물 등의 침입으로부터 자신을
방어
할 수 있다. 식물화합물은 각 식물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약효성분이자 면역물질인 것이다. 예를 들면 마늘은 알리신이라는 식물화합물로 강한 냄새를 풍겨 자신을 보호한다. 식물화합물은 암을 포함한 여러 ... ...
4. 마음도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닮은 구석을 찾아보려는 M의 행동은 어쩌면 이런 질투심으로 인생을 망치고 싶지 않다는
방어
기작일지도 모른다.이런 테마는 뻔하고 심지어 비교육적이라고 손가락질하던 사람들까지도 텔레비전 앞에 앉혀 놓는 드라마와 영화 속에서 날마다 변주되고 있다. 진화론은 이런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침투한 독소나 병균을 빨리 몸에서 배출하기 위해 개발한 비상수단이다. 그런데 이런
방어
메커니즘을 중단시켰으니 복통이 오래갈 수밖에. 물론 탈수가 심각한 설사는 예외이겠지만 견딜만하다면 화장실에 자주 가는게 복통에서 빨리 회복되는 길인 것이다.진화론은 전염병에 대한 시각도 ... ...
샤크 이젠 경창견이라 불러다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0호
뭘 물어보려고 했는데, 뒤에서 공격한 것처럼 생각했던거죠. 샤크는 갑작스런 공격에
방어
할 수 있는 능력 이있다구요! 어휴~! 하마터면생사람을잡을수도…. 그러게 누가 뒤에서 뛰어들라고 했나? ^^“아저씨! 개는 500m 안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고요~! 모르셨나요?”경기장 안의 모든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O형은 바이러스 질병에 강하고 A, B형은 세균 질병에 더 강한데 두 가지 질병에 모두
방어
하기 위해 인류는 4가지 혈액형을 골고루 유지한다는 것이다.앞으로 혈액형의 진짜 역할이 밝혀진다면 혈액형은 성격이 아니라 자신이 잘 걸릴 질병에 대비하는데 쓰일지 모른다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꽤 오래됐다.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나비에서 세크로핀이 발견되고, 다양한 생체
방어
물질들이 분리되면서 최근 연구에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프랑스, 스웨덴, 일본, 미국에서는 일부 상업적인 제품까지 내놓고 있다. 국내 역시 관련연구가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는 추세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도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인식할 수 있는 항체를 붙인 스텔스 면역리포솜(imunoliposome) 연구가 한창이다. 즉 인체의
방어
체계를 피하는 스텔스 기능에 목표 지점만을 공격하는 타겟팅 기능을 더해 효율은 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이려는 것이다.유전자 치료법이 제대로 작동하게 하는데도 나노약물전달시스템이 큰 도움이 될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유는 촉각수용체가 먼저 감지한 자극이 통각으로 바뀔지도 모르기 때문에 미리
방어
하는 것이다. 즉 느린 속도의 통각이 빠른 속도의 촉각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셈이다.불에 데면 살짝 만져도 아픈 이유 통각을 느끼는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금까지는 1965년 캐나다 로널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