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스티븐 킹의 역작 ‘살렘스 롯’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600명의 사람에게 수혈할 계획입니다.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차
병
원에서는 혈장과 제대혈(태반과 탯줄에 있는 혈액으로 신생아의 혈액)이 나이든 사람의 노화를 막을 수 있는지 연구하고 있는데요. 내년 하반기에 연구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하네요.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어떻게 조절되는지 밝혀야 한다. 핵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가 오토파지 관련 질
병
에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기대가 큰만큼, 앞으로 오토파지를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기 전에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혈액세포는 골수에서 태어나 성숙기를 거친 다음, 혈관을 타고 온몸을 다니면서
병
원균을 없앤다. 그런데 노르에피네프린이 지속적으로 자극하면 미처 성숙하지 못한 백혈구가 혈관으로 나온다.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만나도 방어하지 못한다.카치오포 교수는 “특히 바이러스는 자기 유전물질을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6세기부터 8세기 중반까지 지속됐던 유스티니아누스 역
병
으로 무려 500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14세기 유럽을 초토화시켰던 흑사
병
과 마찬가지로 페스트균 ... 14세기 유럽에서 흑사
병
을 일으킨 페스트균의 조상이 아니며, 유스티니아누스 역
병
을 유행시킨 뒤 사라졌다는 사실을 밝혔다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투오마스 탈리넨 박사와 정준영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박사, 프랑스 티몬대학
병
원 나딘 지라르 신경방사선학과장 연구팀은 뇌와 특성이 비슷한 뇌 모형을 만들어 주름이 생기는 과정을 재현했다(DOI: 10.1038/NPHYS3632).우선 주름이 생기지 않은 태아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다음, 3D ... ...
[과학뉴스] 임상종양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남자 주인공(조정석 분)이 걸린
병
인 유방암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는 무엇일까. 전 세계
병
원에서 이뤄지는 가장 중요한 암 관련 임상연구 대부분이 임상종양학회지에 실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명성에 걸맞게 국내에 소개되는 암에 대한 연구 결과도 여기에 발표된 논문인 경우가 많다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모서리를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막아 햇빛을 반으로 가렸지만 역부족이었나봐요. 초콜릿
병
에서 쏟아져 나온 초콜릿 몇 개는 이미 녹아버렸네요. 초콜릿이 녹아 달콤한 향기가 집 안에 퍼졌어요. 그러자 냄새를 맡은 개미들이 어디선가 몰려와 초콜릿을 한 덩이씩 들고 가져가려고해요. 그런데 왜 ... ...
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공포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까지도 치료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가상현실 치료로
병
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 환자의 진단부터 가상 수술 시뮬레이션, 그리고 실제 수술에도 이용한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3차원 가상영상으로 생리학 원리를 배운다. 시신을 이용한 해부학 실습을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이 작은 생명체에 대해 감사해야 할 것이다. 만
병
통치약을 의식한 거창한 감사는 필요없다. 사소하고 심상한 감사가 필요하다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때문에 대체로 효과가 있다.만
병
통치약은 아니다, 그러나…“장내미생물이 마치 ‘만
병
통치약’인 것처럼 과대광고 하는 것은 경계해야 합니다. 하지만 장내미생물을 ‘제2의 게놈’이라고 부르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전자와 장내미생물을 종합하면 우리 몸의 생명활동에 대한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