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배달
송달
인솔
보도
납품
명도
d라이브러리
"
인도
"(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유럽은 전염병이 대유행했다. 대표적인 것이 콜레라와 스페인독감이다. 콜레라는 1817년
인도
에서 발병해 100년 동안 4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스페인에서는 이런 콜레라가 4차례나 창궐해 80만 명이 사망했다. 뒤이어 1918년에는 스페인독감이 발생해 전 세계 5000만 명이 숨졌다(이름 때문에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산업 문제 해결하는 헌터가 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가 많다”고 집었어요. 그는 “우리나라 수학 역량을 실용적으로 활용해야 중국이나
인도
같은 경쟁국에 뒤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요.그렇다면 수학을 어느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메르스나 신종 인플루엔자 같은 전염병은 수학모형을 만들면, 언젠가 같은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계획으로 유인 달 착륙을 성공한 이후 한동안 잠잠했으나 1990년대 들어 일본, 중국,
인도
등 신흥 우주개발국가들의 탐사가 많아지면서 경쟁 열기가 다시 뜨거워졌다. 현재는 NASA의 달정찰 궤도탐사선(LRO)이 달의 궤도를 돌고 있다. 2018년에는 한국도 궤도선을 보내는 게 목표다.화성은 유력한 식민지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바닷물을 따라 이 지점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지요.놀랍게도 이런 크기의 쓰레기 섬이
인도
양과 대서양 등 전세계 바다에 4개나 더 있어요. 게다가 쓰레기 섬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있지요. 우리가 쓰고 버리는 플라스틱의 양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에요. 플라스틱 없인 못살아!그렇다면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어느 위치에 있는지 나타내는 경도를 바다에서 알기는 어렵다. 그래서 콜럼버스도
인도
를 찾아갈 때 같은 위도선을 따라 평행으로 항해했다. 아니면 별과 나침반, 모래시계 등으로 경도를 어림짐작하기도 했다.현상금 걸린 경도바다에서 길을 헤맬수록 피해는 커졌다. 선원들은 갈증과 비타민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거주자는 평소에는 버려지는 공간에서 부수입을 얻는다. “주
인도
가치를 잘 모르는 공간입니다. 만약 한 시간에 2000원씩 받고 하루 4시간, 주 5일 동안 다른 운전자에게 주차 공간을 제공하면 연간 200만 원의 부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박 대표는 “교회나 사유지 등 13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초은하단에 부속물처럼 붙어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남반구 별자리이름이 붙은 공작-
인도
인자리 초은하단의 중심에는 아벨 3742가 있으며 거리는 2억1000만 광년이다.최근에는 관측자료가 정교해지면서 은하단을 이루는 은하들의 상대적인 운동속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게 됐다. 이를 바탕으로 ... ...
삼시세끼 맛있는 쌀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GL7 유전자의 특이한 점은 다른 품종에 넣어도 생산량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점이다.
인도
에서 인기있는 쌀인 바스마티 품종은 맛이 좋아진 대신 생산량이 14%나 줄었는데, 이와 대비된다. 연구팀은 “어떤 계열의 쌀에 도입하든 GL7은 쌀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는 ‘네이처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소라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버텨내기 위해 오랫동안 껍데기 모양을 진화시켜왔습니다.
인도
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이런 구조를 자동차 부품이나 건물 디자인에 적용하는 연구를 할 계획입니다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나거나 폭발할 위험이 있는 시설의 경우에는 피뢰침 끝부분과 약 45° 이내가 안전하다.
인도
비를라공대 연구팀은 피뢰침의 길이와 굵기에 따라 번개를 맞는 확률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피뢰침 끝부분이 가늘고 뾰족할수록 번개를 막는 데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