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장기를 두는 방법을 학습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바둑을 잘 두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현재
기술로는 인공지능이 여러 정보를 순차적으로 학습할 때, 새로 배운 내용이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덮어쓰는 현상이 일어나거든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이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영화 ‘아바타2’ 가 개봉해 시기도 딱 맞았네요. 이진영 위원이 보고 싶다고 한 ‘과거·
현재
·미래 의 신소재’ 주제는 ‘초(超)재료’라는 기사로 만들어졌습니다. 백시우 위원의 ‘우리나라의 고대 또는 역사시대의 과학기술’ 주제는 ‘과학사 극장’ 으로 다듬어졌죠. 최연우 위원이 꼭 보고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광손실을 해결하고 있는데, 양자통신에서는 기존 중계기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기술로 수백 km 이상 원거리에서 양자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양자채널 구성의 거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얽힘 교환 기술을 이용한 ‘양자중계기’ 기술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아닌 셈이다.※필자소개이세인.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으로 머물며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상상력’을 기반으로 앞으로 바뀔 사회를 상상해보자고 조언했다. “인구학자들은
현재
사회의 모습을 기준으로 미래를 상상합니다. 당연히 암울한 미래가 그려지기 쉽지요. 하지만 인구학자가 그리는 정해진 미래는 항상 틀려왔습니다. 우리도 미래가 바뀔 수 있도록 변화할 사회의 모습을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아니었다. 아마도 최소 500억년까지는 소유자가 예정되어 있을 것이었다.미래를 끌어다가
현재
를 사는 그런 어이 없는 형태였다.핍은 관심을 끄기로 했다. 투자에 있어서는 오직 자기 자신만을 믿어야 했다. 출처가 불분명한 사탕발림은 낚시바늘에 꿰인 미끼와 같았다. 함부로 물어서는 안 됐다.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다양한 58.7GW(기가와트)의 발전설비를 갖출 예정입니다. 이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국민 약 1800만 명이 사용하는 수준의 에너지 양입니다. 인하대학교 KIURI 연구단 조현석 연구교수는 “수소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지만, 태양광 집열판(CSP)를 활용해 1500℃ 이상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둔 우주 항공 분야의 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기업이다. 2012년 설립돼
현재
까지 120여 개의 우주 항공 기업을 투자했다. 이런 스타버스트가 2020년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투자할 한국 스타트업을 찾고 있다. 그런데 그곳의 수장인 김상돈 스타버스트 한국 지사장은 우주 산업에서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 다시 만나서 반가워요! ◆ 안녕하세요,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 저는
현재
KAIST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있는 최정담입니다. 2020년에 이라는 수학 교양서를 집필했고, 작년에 에서 ‘역설 나라의 앨리스’를 연재했습니다. 올해도 에서 연재를 맡게 돼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수 있다면 원리적으로 물체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하지만
현재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양자전송은 하나의 입자가 가진 2차원 양자상태를 전송하는 수준”이라고 했습니다. “대규모 양자전송을 구현하더라도 물체를 찰나에 전달하는 순간이동과는 다릅니다. 왜냐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