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기"(으)로 총 1,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동마을 박물관기사 l20191005
- ㆍ 여기 이 사진에 써 있듯이 조선시대 18세기 때 노비에 이르는 16세 이상의 모든 남자가 사용한 물건이다. 한 마디로 자기 신분증과 같다. 갓은 부잣 집 남자들이 쓰는 모자. 쓰지 않을 때에는 갓집에 넣음. 이것은 맨 처음에 설명했던 호패와 같이 자기를 증명하는 것이다. 나무, 뼈, 돌, 수정, 청동, 금, 등으로 만들었다. 이 물건은 ...
- 머피의 법칙, 있을까? 없을까?기사 l20190917
- 재수없는 일이 일어나는 것 같을때 "머피의 법칙" 이라고합니다. "머피의 법칙"이라는 단어는 20세기 초 공군기지에서 일하던 머피 대위가 처음으로 사용한 단어입니다. 머피 대위는 엔지니어로 일했는데 "자꾸 누군가는 꼭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한다." 라고 투덜댄 것에서 "머피의 법칙"이라는 말이 ...
- 얀컨셉 낙숴포스팅 l20190721
- 어린 칭구들을 위해서 유혈은 아닙니다^^7(사실 설현이의 금요일에 올라온 마피아를 보고 그렸다만..ㅎ..)실제로 길가다가 저런 사람을 만나면는마저 길 가시면 됩니다^^7만약에 저사람이 들고있던 뭔가로 다른 뭔가를 썰면 그때부터는 119에 신고해도 됩니당우리 모두 이른 신고로 밝은 21세기를 만들어가요~^^ 잡았다 요놈 ...
- 신문박물관 그리고 상상 그리기 체험을 하고 왔어요기사 l20190515
- 새로운 소식과 정보를 모아서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우리나라 곳곳에 배달되는 종이를 신문이라고 합니다. 신문 박물관은 우리나라 신문의 역사를 살펴보고, 신문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배울 수 있는 ... 하고 볼 수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신문만들기 체험도 하고 기자명찰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여러 친구들도 신문박물관에 가서 20세기 신문 ...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라고?!기사 l20190331
- 됩니다. 이게 바로 5번째 공리입니다. 이 기하학은 무려 2000년 동안 널리 쓰이며 '절대 진리'로 여겨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19세기 새로운 기하학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게 바로 '비유클리드 기하학'입니다. 2. '비유클리드 기하학'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란 가우스, 보여이, 로바체프스키 등에 의해 등장하게 된 기하학입니다. 이 ...
- 4월1일은 만우절!기사 l20190331
- 한답니다~ 이제 만우절의 유래를 알아볼까요? 여러 설이 있지만, 제일대표적인 설은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에요. 프랑스가 16세기 말에 그레고리역을 받아드리면서 새해가 3월25일로 바뀌었었데요. 일주일동안 파티를 하고 마지막날인 4월1일에 모두 모여 파티를 했어요. 다시 새해가 1월1일로 바뀌었는데도 이걸 몰랐던 사람들은 놀림을 받고 열리지 ...
- 풍선의 시작은?기사 l20190329
- 어린이 과학동아를 보시는 분들께 이 이유를 알려드리기 위해 이 기사를 썼습니다. 우선 풍선의 생일을 알아볼까요? 첫 풍선은 2세기에 중국인들이 처음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때 풍선은 우리가 흔히 아는 그 고무 풍선이 아닌 "종이 풍선"이였다고 하는데요. 인디안들은 현재 우리와 흡가하게 고무나무에서 고무를 추출해 풍선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
- 청주 국립 현대 미술관에 다녀와서기사 l20190312
- 부처도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면이 있다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왠지 부처 안에 있는 다른 마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 세기의 선물 오랜지-최정화 2013년도에 만들었고요, 화려하고 아름답습니다. 주말에 가족들과 국립 현대 미술관 관람 어떤가요? (기사 잘 봐주세요~ ... ...
- 를 다녀와서기사 l20190225
- 무엇으로 만들어져 있을까요? 바로 수 천년 전에 죽은 생물들의 시체로 만든다고 합니다. 크리스 조던은 수 천년 전에 죽은 시체들이 21세기에 다시 나와 있는 것을 '좀비'로 생각하여 '공룡'을 그렸다고 합니다. 5. '견딜 수 없는 아름다움' 다섯 번째의 작품들은 산업폐기물과 쓸모를 다한 물건들, 재활용을 기다리는 물건들로 이뤄졌습니다. 단 ...
- 대만 여행 노트 제 3편_Nice to meet you, Turtle기사 l20190224
- 잘못 건들면 어떡하지 같은 걱정과 함께 스노쿨링을 하러 갔다. 하지만 스노쿨링 장비를 대여하면서 걱정들은 사라졌다. 역시 21세기 기술은 대단하다. 수경에 도수가 들어가 있었다. 비록 완전히 맞지는 않아서 약간 어지러웠지만 보이는 것이 감사했다. 물 속에 들어가니 다른 세상이 펼쳐져 있었다. 파도에 따라 팔랑이는 해초들과 검은 가시를 뽐내는 성 ...
이전394041424344454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