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23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집 커진다고 뇌가 커지는 것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뇌와 몸집의 크기가 항상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Orl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몸집 크기에 비례해 뇌 크기가 계속 커지는 건 아니라는 연 ...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몸집과 뇌 크기가 비선형적인 상관성을 보인다는 것은 다수의
동물
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도 덧붙였다 ... ...
소 생간 먹고 생긴 1급 감염병 '야토병'…"발열 동반 인수공통 감염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감염되기 쉬우며 이
동물
들이 주로 질환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야토병에 걸린
동물
의 피를 빤 모기나 진드기를 통해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 사람 간 감염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지만 전파력이나 치명률을 반영해 정해지는 1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돼 있다. 야토병의 치명률은 2~8%로 ... ...
[
동물
do감] 물고기 임신하면 '머뭇머뭇‘ 망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발표했다. 연구팀은 “임신과 관련이 있는 신경 형성 및 인지 변화가 태반이 없는
동물
종에서도 발생하는지 알고 싶었다”며 “포유류에 있는 태반은 임신과 관련한 산모의 뇌 변화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포에실립스 그라실리스’라는 ... ...
'하마가 날았다'…달릴 때 0.3초 공중에 뜨는 하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육지에서 움직이는 것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며 "공룡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대형 육상
동물
의 이동 방식 진화를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7717/peerj.1767 ... ...
[
동물
do감] 감염된 동료 다리 '절단 수술' 집도하는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수술 치료 행위가 발견된 건 처음이다. 에릭 프랭크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바이오센터
동물
생태학 및 열대생물학과 교수는 스위스 로잔대 연구팀과 함께 플로리다 목수개미(학명 Camponotus floridanus)가 동료의 부상당한 다리를 정교한 '수술'로 절단하는 방식으로 치료해 생존율을 높인다는 사실을 ... ...
식욕·감정도 억제…세계 최초 자기장으로 뇌 회로 자유자재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기장으로
동물
의 뇌 회로를 제어해 감정, 사회성, 식욕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고차원적인 뇌 기능과 뇌 질환 원리를 규명하거나 생각만으로 전자기기 등을 제어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MIND 기술은 쥐의 특정 ... ...
미생물 활용한 '계란 대체물'로 머랭 쿠키 구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지난달 19일 국제학술지 'npj 식품 과학'에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비
동물
성 단백질을 활용한 계란 대체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계란과 같은 영양을 제공하는 동시에 젤화, 거품 형성 등 요리 재료로서의 기능적 특성을 함께 구현하는 대체재는 그동안 없었다. ... ...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 기록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동굴 벽화 타이틀을 차지했다. Griffith University 제공 선사시대 동굴 벽화는 인간이나
동물
의 이야기를 묘사한 '예술 작품'으로 초기 인류 문화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호주 연구팀이 새로운 연대 측정 방법으로 인도네시아에 있는 한 동굴 벽화가 최소 5만1200년 전에 그려졌다는 사실을 밝혀 동굴 ... ...
모기의 '흡혈 욕구' 조절 호르몬 찾아…뎅기열 전파 차단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피를 빨고 있는 모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암컷 모기는 산란하기 위해 인간을 포함한
동물
의 피를 빤다. 미국 연구팀이 모기의 장에서 흡혈 행동을 조절하는 호르몬 한 쌍을 발견했다. 모기에게 물리는 것을 막고 모기로 매개되는 뎅기열 등의 질병 전파를 차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생물의 행동 진화, 세포의 유전자 발현만으로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닉테이션 행동 변화를 설명한 그림(오른쪽). 서울대 제공 지구 곳곳에서 널리 발견되는
동물
인 예쁜꼬마선충들의 히치하이킹 행동은 품종에 따라 서로 다른 빈도로 일어난다. 연구팀은 전체 유전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WAS) 등 다양한 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 ...
이전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