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일본 모두 2015년까지는 메탄하이드레이트의 생성원인과 모델을 찾고, 2015년부터 이를
활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시험해볼 예정이다. 박 단장은 “한국도 2015년까지 메탄하이드레이트를 채굴하는 기술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자신했다.각국이 경쟁보다 협력을 중시하는 이유는 메탄하이드레이트 층에서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소리를 분석하고 특징이 되는 부분만을 송신함으로써 같은 시간에 일반전화의 4배를
활용
할 수 있다또한 도청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양과 변수를 표현하는 데 이산형(離散型)의 숫자를 사용하는 컴퓨터 계수형 계산기 · 숫자식 계산기라고도 한다 아날로그 컴퓨터에 대응한다디지틀 컴퓨터로는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변화가 일어나 HSP(Heat Shock Protein)70이라는 단백질을 대량 생산해 스트레스 방어기전으로
활용
하는 것. 나이가 들면 HSP70의 생성이 줄어 세포가 외부 스트레스를 방어하는 능력이 점차 떨어진다. 안 교수는 “나이가 들면 심근세포의 단백질 합성 능력이 떨어져 심장마비나 심근경색 같은 심장 질환이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제품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대히트를 기록했다.테크노 닥터는 퇴직 과학자의 고급 두뇌를
활용
하기 위한 프로그램 중 하나다. 기초 분야에 대한 연구 실적이 부족해 새로운 제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경험이 풍부한 테크노 닥터의 전문적인 자문을 받을 수 있고, 테크노 닥터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처리하는 방법이다정보를 받아 특정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원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
하기 위해 적절한 형태로 나열 · 정리하는 것 데이터나 정보의 기본 요소를 포함하는 주된 매체를 다루거나 분류 · 연산 · 요약 등의 작업을 위해 일정한 규칙과 처리과정에 따라 처리하는 것 데이터 처리의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또 소방방재청에서는 재난에 신속히 대비하기 위해 태블릿PC를
활용
한다. 집중호우를 비롯한 긴급 재난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할 때 외부에선 키보드를 사용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터치펜으로 당시 상황을 메모한 뒤 무선 인터넷으로 사진과 함께 전송한다.최근 휴대전화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있거나 알릴 사항이 있을 때는 계단 면에 모자이크처럼 내용을 붙여 거대한 광고판으로
활용
하기도 하는 78계단은 포스텍의 명물이 됐다.●● 친구 같은 교수가 있다! 포스텍의 교수 한 명당 학생 수는 5.8명. 우리나라 대학평균인 25명의 5분의 1 수준이다. 그만큼 교수와 학생 사이의 관계가 돈독하다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최고의 변신은 나!나무로 만든 물건이라고 하면 당연히 가구가 생각나지요. 하지만 가구 외에도 나무가 변신해 우리 생활에 유용하게 쓰이는 것이 많답니 ... 이렇게 나무를 많이 쓰면 세상의 나무가 모두 없어질까 봐 걱정되지? 그러니까 종이는 꼭 재
활용
할 수 있도록 분리수거를 부탁해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하는데, 현재 연료전지 기술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인체 내에 존재하는 당분을
활용
해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나노로봇을 질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미토콘드리아가 세포와 인간의 삶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있다.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를 모방해 탄생할 생체 연료전지의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최대 700nm 정도 영역의 빛만 흡수한다. 즉 700~1100nm사이에 있는 400nm만큼의 태양에너지는
활용
하지 못한 채 그대로 버렸던 셈이다.2002년 미국 UC버클리의 알리비사토 교수팀과 오스트리아 요하네스케플러대의 린츠 연구그룹은 무기나노입자와 폴리싸이오펜이라는 유기물질을 섞어 근적외선 영역의 ... ...
이전
438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