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205
사는 아틀라스 나방입니다. 티사니아 아그리피나는 날개를 폈을 때의 폭이 3
1
cm 정도이고, 아틀라스 나방은 폭이 25cm 정도입니다. 하지만 날개의 면적은 아틀라스 나방이 더 넓으니 둘이 비겼다고 쳐 두지요. 그나저나 이렇게 큰 나방이 밤에 얼굴을 향해 날아온다면 오줌이 찔끔 샐지도 모르겠습니다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05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
μm는
1
00만 분의
1
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는 “플라스마는 세균이나 ... ...
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당신을 찍는다
과학동아
l
201205
종이 등 물건을 투시할 수 있다.마이크로파와 적외선 사이에 있는 테라헤르츠(THz,
1
Hz의
1
조 배)파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보다 파장이 길다. 테라헤르츠파의 물질 투과성을 이용하면 투시카메라를 만들 수 있다. 렌즈의 카메라가 아닌 테라헤르츠파가 만들어 내는 신호에 의해 이미지를 만드는 ...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
과학동아
l
201205
그 위에 잎이 무성한 잔가지를 얹어 푹신한 잠자리를 만든다. 완성된 둥지는 길이
1
m에 폭 80cm 크기의 눕기 편한 타원형이다. 연구팀은 “어린 오랑우탄이 어른 오랑우탄이 지은 집을 한 번 보고 나면 솜씨가 달라진다”며 “집 짓는 습성이 본능이 아닌 경험과 학습에 기반한 건축 기술”이라고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
과학동아
l
201205
모여 있고, 방마다 메탄이 하나씩 들어가 있는 구조다. 큰 방과 작은 방의 비율이 3:
1
인데, 메탄보다 덩치가 큰 이산화탄소는 큰 방에만 들어갈 수 있다. 작은 방에 있는 메탄을 밀어내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보다 작은 분자가 필요한데,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질소다. 이산화탄소만 사용했을 때는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05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해외 맹그로브 숲 조성사업 중 최대 규모다. 매년 최소
1
만5000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에 가져다주는 경제적 이득도 매년 6만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해외에 숲 조성사업을 하면 그 숲이 흡수한 온실가스만큼 탄소배출권을 ... ...
중성미자 대결, 중국과 무승부?
과학동아
l
201205
하지만 실험 시작은 오히려 더 빨랐다.레노는 지난해 8월부터 실험을 시작했다. 작년
1
월 기자가 취재를 갔을 때는 “3년 정도 자료를 쌓으면 충분히 측정할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 8월경에는 김수봉 센터장이 기자와 통화하면서 “상황이 좋아서 예상보다 빠르게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 ... ...
“과학의 매력은 어렵다는 것”
과학동아
l
201205
후에 자동적으로 찾아오는 겁니다.”박 연구원은 박자세의 회원이라면 주기율표를
1
번 수소부터 92번 우라늄까지 모두 외우고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했다. 뿐만 아니라 일반상대성이론의 수식도 함께 풀었다고 덧붙였다. 대중을 위한 과학서적은 수식을 쓰지 않기 위해 대신 길고 장황한 설명으로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05
믿은 어떤 사람들은 나라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 오늘날도 번번히 세계 무대에서
1
등을 놓치는 미국의 프로야구는 최종 결승전을 월드시리즈라고 부른다.지구에 갇혀있는 우리의 우주론고대 과학자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다. 하늘의 별들은 ‘천구’라는 하늘면에 붙어있는 천체라고 ... ...
화학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205
한몫 하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화학공학부는 공대가 있는 대학교에는 대부분 있다. 2
1
세기에 생명공학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화학공학을 생명공학과 연계해 배울 필요가 생겼다. 이에 따라 기존의 화학공학부를 화학생물이나 화학생명공학부로 명칭과 커리큘럼을 바꾸는 추세다.4 뭘 배우나요?화학,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