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원자력 산업계나 연구계의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상황입니다.”심시추공처분법이 대안 기술로 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이 방법의 장단점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는 한발 더 나아가 “(심지층처분법처럼) 심층시추공처분도 아직 확실하지 않아, 더욱 안전한 폐기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추적해 온저자는 ‘인간으로서의 본능’을 이유로 꼽는다. 기계와 전자, 소프트웨어 기술에 정통한 공학자의 마지막 목표는 다름 아닌 ‘자신을 닮은’ 로봇이라는 것이다. 눈이 내리면 눈사람을 만들고,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 올라프라도 출연시켜야 직성이 풀리는 게 사람 심리인 걸 보면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가지면 광학·화학·기계·전자적 특성이 전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현재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모든 물질을 다룬다신소재공학은 우리 눈에 보이는 모든 물질의 미세 구조를 분석하고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성질들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철강과 반도체, ... ...
- 쓰나미 쓰레기섬, 미국 덮칠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돌아 우리나라까지 접근하지는 않을까. 태평양 해류를 연구하는 정경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은 “오더라도 아주 극미량일테니 안심해도 좋다”고 말했다.“태평양 해류는 입구와 출구만 있는 고속도로가 아니에요. 주변에 작은 도로가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국도에 가깝지요. 미국에서 일본 ... ...
- 총기사고 막는 스마트 총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미국은 총기사고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80%에 가까운 인구가 총기를 지니고 있으며,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한 해(2010년) 기 ... 안전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스티븐 테렛박사팀은 뉴저지 일부 주는 이미 기술을 적용하도록 법까지 개정해 둔 상태라고 밝혔다 ... ...
- 20년 내 직업 47%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로봇의 시대가 올까?올해는 터미네이터가 개봉한지 30주년이 되는 해다. 아직 미진하지만 30년 동안 로봇 기술은 큰 폭으로 발전했다. 20년 뒤 로봇은 힘들고 위험한 일을 대신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어, 그런데 걱정이다. 로봇이 다 하면, 인간은 무엇을하지? 직장도 못잡고 실업자가 되는 것 아닐까 ...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이 작품의 원본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고 원색을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증강현실 기술을 선보였다.미국 하버드대 미술관 젠스 스텐저 박사팀은 1963년에 작품을 찍은 코닥 흑백 필름 사진을 참고 자료로 활용했다. 이 사진 역시 오래돼 색이 변한 상태였지만, 붉은 염료만 집중적으로 변색한 원본과 ... ...
- 간질과 ‘코 다 페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커다란 영향을 미쳐요. 그걸 밝히는 사람이 저와 같은 의료인류학자이고요. 새로운 치료기술을 연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한 연구를 한다는 점에서 의학과 목표가 같아요.관광객과 노동자, 결혼 이민자를 포함해 우리나라에 머물고 있는 외국인은 현재 150만 명을 ...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폴리우레탄이에요. 지난해 12월 영국로얄병원 연구팀은 이것으로 몸속 상처를 감싸는 기술을 개발했어요. 몸속에 폴리우레탄 액체를 넣어 거품을 내지요. 이 거품으로 내장에 난 상처를 보호막처럼 감싸 출혈을 약 3시간 정도 막을 수 있어요. 교통사고 환자나 전쟁터에서 부상당한 군인처럼 당장 ... ...
- [뉴스포커스] 2014년은 ‘한국 수학의 해’ 수학, 산업을 이끈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더욱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화선 사장은 성균관대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했다.2. 수학으로 ‘생활 속 나의 문제’도 해결한다고?“이전까지는 대중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최소한 수학적 지식만 갖추면 된다는 입장과, 사회개혁을 위해서는 대중이 ... ...
이전4394404414424434444454464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