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극한환경서 살아남은 고세균 화성서 발견될까
연합뉴스
l
2019.03.27
바이오멕스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는 화성 탐사에서 고세균 같은 미생물의 대사 산물이나
세포
구성 성분 등을 화성 표면에서 별도의 샘플 준비 없이 바로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레이저빔으로 분자의 진동을 일으켜 분석하는 라만분광법을 이용해 화성 표면의 샘플을 파괴하거나 ... ...
[의학게시판] 서울아산병원 인공지능 개발 콘테스트 종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연구원으로 구성된 ‘Allthebest’ 팀이 차지했다. 이 팀은 뇌 MRI에서 뇌종양의 일종인 교모
세포
종을 76%의 정확도로 분할해내는 인공지능 영상 분할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 김태우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교수가 안과학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제27회 톱콘안과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실험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다수의 지지를 받고 있는 가설이다. 동물의 망막에 있는 특정
세포
에 크립토크롬이라는 단백질이 존재한다. 크립토크롬은 FAD라는 분자를 감싸고 있는데,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도달한 파란빛을 FAD가 흡수하면 전자 하나가 튀어나간다. 그러면 크립토크롬의 아미노산 ... ...
유전자 변이 15분만에 진단하는 휴대용 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뒤센 근이영양증은 X염색체에 있는 디스트로핀 유전자 이상에 의한 유전병으로 근육줄기
세포
의 재생능력에 문제를 일으켜 근육을 지방과 섬유조직으로 바꾸는 병이다. 남성 아동 3500명당 1명꼴로 나타나고 20세 이전에 환자 대부분이 사망하는 난치병이다. 뒤센 근이영양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 ...
[전문의가 본 당뇨병]성장기 환자는 적절한 영양 섭취가 중요(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연구 단계인 췌장 이식이나 췌도
세포
이식이 임상에서 가능해지면 앞으로 1형 당뇨병 치료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형 당뇨병은 소아·청소년 환자도 성인 환자처럼 혈당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당뇨병 성인 환자가 혈당조절을 할 ... ...
박상열 표준연 원장, 물질량 자문위원회 의장에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과학기술 현안을 협의하고 자문해주는 역할을 한다. 물질량자문위원회는 단백질 분석,
세포
분석, 가스분석과 같은 분야를 전문화해 산하 11개 실무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박 원장은 그 중 단백질 분석 실무그룹 의장을 2015년부터 맡아왔고 2018년 11월부터는 CIPM 위원으로 선출됐다. 단백질 분석분야 ... ...
뇌속 억제물질 조절하는 새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최근 치매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치매 환자의 뇌를 보면 성상교
세포
가 과하게 활동하면서 가바를 지나치게 많이 만드는 현상이 발견된다. 기존에도 이 현상을 막아 치매를 치료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치매에 걸리도록 유전자를 변형한 쥐를 이용해 실험해 보면, 약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임체인저가 될 '입자'로봇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3
“자연의 모든 생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세포
로 이뤄진 유기체다”며 “로봇이
세포
화된다면 여러 작업에서 요구되는 최상의 모양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세계 최초로 개발된 '입자' 로봇의 모습은 아래 동영상에서 볼 수 있다. 유튜브 주소: https://youtu.be/wrDdqjQvaoA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태아가 자유롭게 움직일 정도로 조직이 발달한 이유는 자궁 속 수정되지 않은 생식
세포
인 ‘무정란’을 먹기 때문입니다. 태아가 무정란을 먹는 일은 타우니보모상어처럼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상어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상어는 종에 따라 새끼를 낳는 태생과 알을 낳는 난생, 태아가 자궁 속 ... ...
바이오젠, 유력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임상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신경과학연구단장팀은 환경과 스트레스 등이 뇌
세포
DNA의 사용법을 바꾼다는 ‘후성유전학’ 개념을 이용해 임상 환자로부터 역으로 치매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다. 후성유전학적 변형을 막는 방식으로 치료제 개발로도 연결될 수 있다. 류 단장은 "근본 원인 ... ...
이전
439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