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바다 속에서 장기간 운영되려면 그 형태는 오랫동안 바다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한 해양
생물
의 모습이 제격이다.대부분의 작품들은 외부 도움없이 한달에서 최고 1년까지 바다 물밑에 머물 수 있도록 설계됐다.최근 작품으로는 지난 1992년 프랑스 볼로뉴 지방에 지은 노지카(Nausicaa)아쿠아리움과 199 ... ...
방귀로 대화하는 청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11월 5일 영국왕립학회의
생물
학전문지인 ‘바이오롤지 레터스’에 게재됐다.청어의 방귀는 사람이 내는 것과 다르다. 청어는 수면 가까이에서 들여마신 공기를 부레를 거쳐 항문으로 배출하면서 소리를 낸다. 따라서 청어가 수면으로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돌연변이로 만든 신품종이라면 유전자조작식물(GMO)이란 말인가. 이에 대해 진 이사는 “
생물
은 돌연변이를 통해 진화한다”며 “우리는 다만 인위적으로 그 속도를 빨리 해 추구하는 특성을 지닌 변종을 선별할 뿐”이라고 말한다. 즉 거대배아미도 언젠가는 자연상태에서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위에 이상하게도 푸른 잎을 가진 나무가 바로 그것입니다. 즉 겨우살이는 땅에 발붙이는
생물
이 아니므로 프리그의 요청을 따르지 않아도 무방했던 셈입니다. 독화살을 만든 사악한 신은 프리그의 허점을 노린 것이죠.겨우살이는 어떻게 다른 나무위로 올라가 뿌리를 내릴 수 있었을까요. 그 비밀은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어느덧 다윈의 식탁 넷째날이 밝았다. 내일 하루는 쉬고 그 다음날에는 굴드와 도킨스가 런던으로 자리를 옮겨 자신들의 최근 저서에 관한 공 ... 문제를 놓고 갈팡질팡 했듯이, 현대의 과학자들도 어쩌면 이미 내면화된 진보관과 다양한
생물
학 이론들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紅藻)식물에서 볼 수 있는 무성포자(無性胞子)의 하나 돌김과 같이 체세포(
생물
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에서 생식세포 이외의 것)가 그 위치에서 약간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과 개구리알 같이 특별히 포자낭이 생겨서 그 속에 1개씩 만들어지는 것 등 두가지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근연종·품종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고등학교 졸업 후 식당에서 일하며 여비를 마련해 1960년 마침내 아프리카 땅을 밟았다. 고
생물
학자인 루이스 리키 박사는 제인이 진심으로 동물을 이해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탕가니카 호수 근처에 사는 침팬지를 연구할 기회를 줬다. 침팬지들은 제인을 보면 숲속으로 도망치기 바빴지만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논리로 매운 음식에의 중독을 설명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고 본다.미 코넬대 진화
생물
학자인 폴 셔만은 우리가 고추같은 향신료를 먹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것들이 든 음식이 맛있게 느껴지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사람들이 향신료에 대해 발달된 미각을 갖게 된 것을 생존원리로 ... ...
'
생물
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싶다는 말이다. 달팽이처럼 천천히그러나 뚜렷하게 자신의 족적을 남겨온 권오길 교수.
생물
학과 더불어 산 그의 일생이 시가 되고 소설이 될 날이 머지 않은 듯하다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지난 10월 6일 스웨덴의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개발하는데 기여한 공로로 ... 때, 그리고다른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때에 NMR을 사용한다. 오늘날 NMR 기술은 물리학,
생물
학, 의학 등 학문분야에서없어서는 안될 방법이 됐다 ... ...
이전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다음
공지사항